3545 1128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종이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의 마취기록 기재 충실도 비교

Other Titles
 Comparison of completeness of recording between electronic and paper anesthesia records 
Authors
 장정화 
Issue Date
2010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이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으로 기록의 충실도가 향상되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의무기록이 신속 정확하게 작성되어야 하는 수술실에서의 마취기록을 대상으로 종이마취기록과 전자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를 비교하였다.2010년 3월부터 한달 동안 서울 S병원의 2008년 7월부터 9월 종이의무기록 100건과 2009년 7월부터 9월사이 전자의무기록 150건의 마취기록지를 수집하여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하였다. 마취기록지에 꼭 기입하여야 하는 필수항목 34가지를 선정하여 마취기록지에 각각의 기록이 모두 있으면 1점, 기록이 있으나 미비사항이 있으면 0.5점, 기록이 없으면 0점으로 처리하고, 34개 항목 점수의 합계를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로 정의하여 250개의 마취기록지를 대상으로 기재 충실도를 비교하였다.분석방법은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종이마취기록과 전자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수술 소요시간에 따른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 차이도 분석하였다.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마취기록 기재 충실도의 영향요인과 모형의 적합성도 확인하였다.연구결과 34개의 필수항목에 대하여 전자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가 종이마취기록보다 평균 1.07점 유의하게 높았다. 수술 소요시간에 따른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는 수동기록 그룹에서 2시간 이상의 수술 마취기록이 2시간 미만 수술 마취기록 보다 기재 충실도가 평균 1.23점 유의하게 높았다.34개 전체 항목에 대하여 마취기록 기재 충실도의 영향요인을 알아본 회귀모형에서 ‘의무기록 유형’이 유의한 변수였으나 모형의 적합성을 5% 밖에 설명할 수 없었다. 좀더 상세한 검토를 위해 34개의 필수항목 중 전자마취기록에서 기록이 자동으로 연동되어 넘어오는 12가지 항목의 그룹과 수동으로 기입해야 하는 수동기록 22가지 항목의 그룹으로 분류하여 두 그룹 각각의 기재 충실도 영향요인을 검증해 보았다. 그 결과 자동기록 그룹에서는 ‘의무기록 유형’이 유의한 영향요인이면서 15.4%의 모형 적합성을 보였고, 수동기록 그룹에서는 ‘의무기록 유형’이 유의한 영향요인이 아니면서 18.9%의 모형 적합성을 보였다.기존의 종이마취기록에 비해 전자마취기록은 의무기록의 기재 충실도 면에서 더 나아진 것으로 판단되었고, 표본병원에서 전자마취기록의 도입은 적절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으로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가 높아졌으며, 마취기록의 기재 충실도를 높인 요인이 전자의무기록의 자동기록 방식 이었으므로 전자의무기록 프로그램 개발 시 기재 충실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기록의 자동화와 이미 저장되어있는 자료의 재활용을 강조해야 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전자의무기록의 자동기록 기능의 활용은 신속성과 정확성이 요구되는 의료환경에서 짧은 시간동안에도 정확한 의무기록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전자마취기록의 도입으로 34가지 주요항목에 대하여 마취기록지의 기재 충실도는 향상된 것으로 볼 수 있으나, 향후 다른 기록과의 일치성 비교 등을 통해 기재 정보의 정확성에 관한 연구 등이 더 필요하고, 전자의무기록의 도입으로 궁극적으로 의료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59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40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