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7 895

Cited 0 times in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에서 경두개 직류전류와 함께 적용된 말초자극이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고아라-
dc.date.accessioned2015-11-21T07:49:23Z-
dc.date.available2015-11-21T07:49:2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207-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본 연구는 대뇌피질의 활동성을 조절한다고 알려진 경두개 직류전류를 말초감각자극 또는 말초운동자극을 결합하여 적용했을 때 반복적인 움직임 훈련 전 후 평가를 통해 손가락의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8명을 대상으로 교차설계 하였으며, 무자극(S0), 경두개 직류전류(S1), 말초감각자극(S2), 말초운동자극(S3), 경두개 직류전류+ 말초감각자극(S4), 경두개 직류전류+말초운동자극(S5)의 다섯 가지 자극(S1-S5)을 무작위로 배정하여 간격을 두고 적용하였다. 전기자극 후 손가락 움직임 훈련을 시행하였으며, 기준선, 전기자극 후 그리고 손가락 움직임 훈련 후를Finger Evaluation Tool v1.7 system 으로 평가하였다. 기준선을 100%로 했을 때 전기자극이 적용된 직 후 손가락 움직임의 반응시간은 116.2%(S1), 94.1% (S2), 107.8% (S3), 106.1% (S4), 86.5% (S5)의 변화율을 나타냈으며, 단일 자극과 결합된 자극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결합된 자극간의 비교에서는 말초운동자극이 말초감각자극보다 더 효과적이며 자극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α<0.05).전기자극과 손가락 움직임 훈련이 적용된 후 손가락 움직임의 반응시간은 91.0%(S0), 87.4%(S1), 103.4% (S2), 95.11%(S3), 92.2%(S4), 81.0%(S5)로 나타났으며, 말초감각자극(S2)을 제외한 모든 자극에서 반응시간이 감소하였다. 적용된 전기자극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전기자극과 움직임 훈련을 하나의 과정으로 간주할 때 경두개 직류전류+말초운동자극 (S5)은 전 후의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했다(α<0.05). 시냅스의 유효성이 장기적으로 증강하는 장기기억강화(Long Term Potentiation: LTP)와 같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없는 일회성 자극이라는 특성에 대부분의 결과에서 자극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밝힐 수 없었다. 하지만 피부, 근육, 관절 수용체에 자극을 주어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말초운동자극과 대뇌피질의 흥분성을 유발시키는 경두개 직류전류+말초운동자극(S5)은 어떠한 단일 자극 보다 효과가 있었으며, 손가락 움직임 훈련에 적절한 신경학적 환경을 조성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치료적으로 적용되었을 때 신경재활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치료 적용에 따른 움직임 기능 변화는 전기 생리학적인 지표와 뇌영상 등을 통한 기전 규명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일관된 결과를 얻기 위해 치료기간 및 발병 후 시기와 병변 부위에 따른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환자에서 경두개 직류전류와 함께 적용된 말초자극이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Effects of combined peripheral electrical stimulation and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tDCS) on finger movements in stroke patie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ediatrics (소아청소년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4507-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 A Ra-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고아라-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