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7 597

Cited 0 times in

인체 태막의 Toll-like receptor 4가 자궁 수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volvement of toll-like receptor 4 on human fetal membrane in uterine contraction 
Authors
 최성진 
Issue Date
2010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조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최근 그 기전으로서 자궁내 감염 및 염증 등 선천면역이 관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중 Toll-like receptor 4 (TLR-4)는 숙주의 면역체계가 그람 음성균과 관련된 분자패턴을 인지하는 주요한 수용체이다. 태막에서의 TLR-4의 분포에 관한 연구는 주로 소동물을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인체 태막의 조직학적 층에서의 TLR-4의 분포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며, 자궁 수축 유무와의 관련에 대한 연구도 매우 드물다. 이에 인체 태막의 TLR-4가 자궁 수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자궁수축 유무에 따른 인체 태막에서의 TLR-4의 면역조직화학염색 및 mRNA를 정량 측정하였고, 이 결과를 여러 임상요인과 비교하였다.조산 및 만삭 분만된 태막 조직을 자궁저부 및 하부에서 일부 절취하여 TLR-4 면역조직화학염색과 hematoxilin 및 eosin 염색을 시행하였다. 또한 태막을 분만 직후 양막과 융모막으로 분리하여 각 조직에서의 TLR-2, TLR-4, cyclooxygenase-2 (COX-2) mRNA 발현을 관찰하기 위해 real time PCR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분만 시기, 진통 유무 등의 임상 요인과 비교하였다. TLR-4 면역조직화학염색시 자궁저부와 하부에서의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양막 보다는 융모막에서의 TLR-4가 더 강하게 발현 되었으며,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여부에 따른 TLR-4 발현의 차이는 없었다. 임신 주수가 경과함에 따라 TLR-4의 발현이 감소하였다.Real time PCR을 시행한 결과, TLR-4의 발현은 면역조직화학염색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조기 진통 보다는 만삭 진통후 분만된 양막에서 발현이 감소하였다. TLR-2,4 모두 자궁 수축이 없던 경우보다 자궁 수축이 있던 경우에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COX-2의 mRNA의 발현도 만삭 분만시 보다 조산된 태막에서 더 높았다.이 결과로 TLR-4는 조산 및 만삭 분만시 자궁 수축에 영향을 미치며, 조기 진통의 유발과 깊히 관련 될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36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1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