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Home Care Nurses' Perception and Performance of the Patient Safety Nursing Care
Authors
이재영
Issue Date
2010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최근 안전한 환경에서 안전한 처치를 받는 것이 환자의 기본 권리라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권리의식이 향상됨에 따라 안전한 의료서비스 보장을 기대하게 되었다.국내에서도 2004년부터 시행된 의료기관 평가를 통해 환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환자안전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의 환자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가정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를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자료 수집은 2009년 7월 10일에서 2009년 8월 15일까지 전국에 가정 간호사업소가 있는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가정전문간호사 1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총 161부를 배포하여 156부가 회수되어 회수율 96.9%를 보였으며, 이 중 무응답을 제외한 132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통계 분석은 SAS 9.1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가정에서의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영역별 인지도의 평균평점은 4점 만점에 3.88점 이였으며, 7문항 가운데 인지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소독물품관리로 평균 3.96점이었다. 다음은 수액요법 3.95점, 손씻기 3.91점, 요로감염관리 3.89점, 낙상관리 3.85점, 호흡기관리 3.85점, 투약관리 3.76점 순이었다. 2)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영역별 수행도의 평균평점은 4점 만점에 3.68점 이였으며, 7문항 가운데 수행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소독물품관리로 평균 3.87점이었다. 다음은 수액요법 3.86점, 요로감염관리 3.75점, 손씻기 3.67점, 낙상관리 3.59점, 호흡기 관리 3.54점, 투약관리 3.48점 순이었다.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인지도의 평균점수가 수행도의 평균점수보다 높게 나왔다(p<.0001).3) 일반적 특성별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는 연령, 결혼여부, 교육정도, 종교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 간호사의 근무경력이 20년 이상인 사람이 거의 모든 영역에서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가 높게 나왔다. 인지도는 통계학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나(p=.097), 수행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5). 그리고 의료기관 유형에 따라 대학병원(3차 의료기관) 보다 종합병원 또는 병원(2차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가 높게 나왔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2; p=.010).4) 가정에서의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인지도와 수행도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전체평균(r=.56, p<.0001)이 인지도가 높으면 수행도도 높은 양의 상관관계로 나왔다. 항목별로 보면 요로감염 관리 영역이 인지도와 수행도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r=.64, p<.0001), 손씻기 영역은(r=.38, p<.0001)이다.5) 환자안전간호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제 요인들 간의 설명정도를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인지도에 의해 40.5%정도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환자안전간호에 대한 수행도가 인지도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므로, 인지도만큼 실제 수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더불어 가정전문간호사들이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더욱 적극적으로 환자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교육과 안전간호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의료서비스 보장과 의료의 질적 수준 향상을 기대하게 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