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15 2165

Cited 0 times in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및 장애요인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재용-
dc.date.accessioned2015-11-21T07:46:45Z-
dc.date.available2015-11-21T07:46:4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107-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정도 및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조사하여, 근거기반 실무 활성화 전략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09년 10월 15일부터 11월 30일까지 서울 및 경기 소재 500병상 이상의 7개 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3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근거기반 간호지식 측정도구(Labeau, et al., 2007),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 예방을 위한 감염관리 근거기반 간호지식 측정도구(Labeau, et al., 2008),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 측정도구(오의금, 2004), 연구결과 활용의 장애요인 측정도구(Oh, 2008)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 검정,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총 평균은 19점 만점에 9.15(±2.0)점으로, 인공호흡기 폐렴 예방 관련 지식은 9점 만점에 평균 4.78(±1.25)점, 중심정맥관 관련 혈류 감염 예방 관련 지식은 10점 만점에 평균 4.36(±1.49)점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지식 수준은 교육 수준이 높고(t=2.196), 총 임상 경력이 3년 이상(t=2.195), 중환자실 임상경력이 3년 이상이며(t=2.539),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F=5.040)과 수행 정도가 높고(F=3.404), 학회 및 학술대회, 감염관리 관련 수업이수, 정기적 논문 읽기, 웹 데이터베이스 활용과 같은 학술관련 활동을 많이 할수록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5). 2. 대상자들의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과 수행은 선행연구에 비교해서 저조하였다. 감염관리를 위한 학술 관련 활동도 저조하였다. 임상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선호하는 정보자원으로는 동료 및 선배와 같은 인적 자원이었으나, 가장 신뢰하는 정보자원은 진료지침서 및 병동매뉴얼과 같은 문서 자원이었다. 3. 대상자 특성에 따른 근거기반 실무 수행 정도는 직책이 높고(t=2.160),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이 높고(F=12.493), 전문직 만족도가 높으며(F=12.678), 학술관련 활동을 많이 하는 대상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5). 4.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를 파악한 결과 장애정도 전체 평균 점수는 4점 척도에서 평균 2.12점으로 중간 이상의 장애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부요인별로는 조직 요인이 2.3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사소통 요인 2.23점, 연구 요인 1.99점, 간호사 요인 1.90점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정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연구 결과를 읽을 만한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장애정도 전체 평균은 총 임상경력이 길고(t=2.251), 전문직 만족도가 낮을수록(F=3.847), 근거 자원으로서 동료 및 선배와 같은 인적 자원을 선호하는(t=2.242) 대상자일수록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5.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근거기반 실무 인식, 수행 정도,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지식 수준과 근거기반 실무에 대한 인식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지식 수준이 높아지며(r=.187, p=.004), 인식 수준과 근거기반 실무 수행 정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짐으로써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수행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308, p<.001). 6.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의 영향요인으로는 정기적 논문 읽기(R2=.064), 중환자실 임상 경력(R2=.022), 근거기반 실무 수행(R2=.016)등으로 나타났다(R2=.102, p<.05). 근거기반 실무 수행의 영향요인으로는 정기적 논문 읽기(R2=.115), 전문직 만족도(R2=.062), 감염관리 수업이수(R2=.024) 등으로 나타났다(R2=.201, p<.05).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 장애정도의 영향요인으로는 전문직 만족도(R2=.031), 총 임상경력(R2=.027), 부서 내 직책(R2=.021)등으로 나타났다(R2=.079, p<.05). 이상의 연구 결과는 중환자실에서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준을 높이고, 학술 관련 활동을 포함한 근거기반 실무 수행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연구결과의 간호실무 적용의 장애요인들을 줄이기 위한 개인적 차원 및 조직차원에서의 체계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문]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evidence-based nursing knowledge and performances, to identify perceptions of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on infection control among intensive care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239 intensive care nurses working in seven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5th to November 30th, 200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5.0 for Windows progra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s for evidence-based nursing knowledge on preventing VAP and CVCs-BSI were relatively low(M=9.15, out of 19point). Evidence-based nursing knowledge in intensive care nurses'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vanced education level(t=2.196), clinical experience(t=2.195), recognition of EBP(F=5.040), performances of EBP(F=3.404) and more researchrelated activities, such as membership of nursing academy, attendance of academic conference, monthly reading research articles and frequency using of web-database(p<.05). 2. Recognition and performances of EBP were relatively low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ntensive care nurses‘ research-related activities were low. The most accessible knowledge source for clinical decision making was human information and the credible resource was paper-based information. 3. Performances of EBP in nurses'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high professional status(t=2.160), recognition of EBP(F=12.493), professional satisfaction(F=12.678) and more research-related activities(p<.05). 4. Perceptions of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were relatively moderate M=2.12). Priorities of barriers factor were Administrator(M=2.36), Communication (M=2.23), Research(M=1.99), Adopter(M=1.90). The most important barriers are lack of time to read research articles and to implement research findings. Perceptions of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more clinical experience(t=2.251, p=.025), lower professional satisfaction(F=3.847, p=.023), preferences human resources(t=2.242, p=.026). 5.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evidence-based nursing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EBP, performances of EBP.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recognition was r=.187(p=.004) and higher level of knowledge was related to higher level of recognition.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and performances was r=.308(p<.001) an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was related to higher level of performances. 6. In the regression analysis, evidence-based knowledg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egularly reading research articles(R2=.064), ICU experience(R2=.022), performances of EBP(R2=.016) and predicted 10.2% of the variance. Performances of EBP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egularly reading research articles(R2=.115), professional satisfaction(R2=.062), taken infection control course(R2=.024) and predicted 20.1% of the variance. Perceptions of barriers to research utilizatio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rofessional satisfaction(R2=.031), clinical experience(R2=.027), professional status(R2=.021) and predicted 7.9% of the varianc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at person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for enhancing evidence-based nursing knowledge and performances on infection control should be develop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중환자실 간호사의 감염관리 관련 근거기반 간호지식, 수행 및 장애요인-
dc.title.alternativeEvidence-based nursing knowledge, performances and barriers on infection control among intensive care nurs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 Jae Yo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