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 397

Cited 0 times in

노년기의 신체활동 정도와 사회적 활동 및 생활 만족도의 관계

Other Titles
 Relations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social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elderly 
Authors
 최은성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

고령자들의 신체활동 정도와 사회적 활동 및 생활 만족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70대의 남?여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김정순이 개발한 사회적 활동 도구와 Neugarten 등에 의해 개발되어 LSI-A(Life Satisfaction Index-A)를 수정, 보완한 이영인의 생활 만족도 도구를 사용하였고, 총 364명을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활동의 차이는 남성이 배우자가 있을수록, 70-74세 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와 함께 살수록, 월수입이 많을수록, 월 용돈이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사회적 활동도도 더 높았다. 여성은 배우자가 있을수록, 60-64세 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부부와 함께 살수록, 월 용돈이 많을수록 사회적 활동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활 만족도의 차이는 남성이 70-74세 일수록, 고졸일수록, 자녀와 함께 살수록 생활 만족도도 더 높은 반면에 여성은 배우자가 없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부부와 함께 살수록, 월수입이 100-200만원 일수록, 월 용돈이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보통일수록 사회적 활동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 특성에 따른 사회적 활동은 남ㆍ여 모두 규칙적으로 신체활동 할수록, 활동 빈도가 2-6일 일수록, 활동시간은 1회에 90분 이상 할수록, 활동기간이 1-5년인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하여 사회적 활동도가 더 높았다. 넷째, 신체적 활동 특성에 따른 생활 만족도에서 남성은 활동 시간이 1회에 30-90분 미만인 집단만 타 집단에 비하여 높았고, 여성은 규칙적으로 신체활동 할수록, 활동 빈도가 주당 2-6일 할수록, 활동 시간은 1회에 90분 이상 할수록, 활동기간은 1-5년인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하여 생활 만족도가 더 높았다. 다섯째, 사회적 활동과 전체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 남ㆍ여 모두 정(+)의 상관성이 발견되었다. 또한, 신체활동과 사회적 활동 및 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도 남ㆍ여 모두 정(+)의 상관성이 발견되었다. 여섯째, 사회적 활동과 관련된 제 변수는 남성인 경우 배우자 유무, 교육정도, 월 용돈, 주관적 건강상태, 신체활동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배우자 유무, 교육정도, 동거인, 신체활동으로 나타났다. (남성- 28.9%, 여성- 32.9%) 일곱째, 생활 만족도와 관련된 제 변수는 남성인 경우 동거인만 관련이 있었고, 여성은 교육정도, 월 용돈, 신체활동 등으로 나타났다. (남성- 11.9%, 여성- 52.9%)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남성과 여성 모두 신체활동을 잘 할수록 사회적 활동도가 높고, 사회적 활동이 높으면 생활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Files in This Item:
T0112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503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