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nowledge, performance, and awareness of importance on pressure ulcer care among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Authors
진인선
Issue Date
2009
Description
병원경영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욕창이란 한 부위에 지속적인 압력으로 인해 순환장애가 일어나 조직이 손상된 임상적 상황으로서, 감각기능과 기동성 장애를 가진 노인환자 및 만성질환자에서 흔히 발생되는 간호문제이다. 따라서 간호사는 효율적으로 욕창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와 관련된 최신의 과학적 근거와 지식을 파악하여야 하며 욕창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일 병원 간호사들의 욕창에 대한 간호지식과 욕창 간호중재 수행 및 이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근거기반의 욕창간호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본 연구는 임의로 선정한 경기도 G시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243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30일부터 4월 10일까지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간호사의 욕창에 대한 전반적 지식은 최대 가능 점수 39점중 29.5(3.31)이었으며 전체 응답자의 평균 정답비율은 75.7%로 나타났다. 영역별로는 예방관련 지식 수준이 가장 높았고(82.1%), 위험요인(81.0%), 사정(77.6%), 치료방법(63.8%)순으로 나타났다.2.욕창 간호중재 수행 수준은 평균 2.50으로 가끔(2) ~ 항상(3)의 중간 정도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욕창 간호중재의 중요성 인식 수준은 평균 4.42로 중요(4) ~ 매우 중요(5)의 중간 정도이며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4.일반적 특성에 따른 욕창 지식의 수준은 연령(F=5.91) 및 근무경력(F=7.29)이 많고, 욕창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t=3.29) 경우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간호중재 수행 정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간호중재의 중요성 인식 정도는 근무부서 (F=5.6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5.욕창에 대한 간호지식, 중재 수행 및 중요성 인식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욕창간호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욕창 간호지식(r=0.15) 및 수행 정도(r=0.28)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종합적으로 간호사들의 욕창에 대한 간호지식과 간호수행 정도 및 간호중재의 중요성 인식 정도는 비교적 높았으나 최신의 간호중재 방법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수행 정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최신의 욕창간호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간호사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임상매뉴얼이나 프로토콜을 만들어 이에 대한 간호사 교육 및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략적 방안이 강구되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