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Lingual sliding mechanics에서의 lever arm의 효과에 대한 유한요소분석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경희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1T07:38:52Z | - |
dc.date.available | 2015-11-21T07:38:52Z | - |
dc.date.issued | 2009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814 | - |
dc.description | 치의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설측교정시 제1소구치를 발치한 후 공간폐쇄를 하기 위해 사용하는 Sliding mechanics 에서 상악 전치부의 lever arm 의 길이와 대구치의 TPA (transpalatal arch) 상의 견인 훅 (hook)의 위치를 달리 하여 후방 견인력을 가했을 때 나타나는 치아 변위 양상과 응력분포를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상악치아와 치주인대, 치조골에 대한 3차원 유한요소 모델을 제작하고 개개의 치아 이동량을 x, y, z 좌표에서 각각 계산하여 치열의 변위 양상을 분석하고 von Mises 응력 분포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대구치의 견인 훅의 위치에 관계없이 전치부의 lever arm 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상악 전치부의 설측 치관 경사 (lingual tipping) 및 순측 치근 경사 경향을 보였으며 전치부의 lever arm 의 길이가 20mm 인 경우 전치부의 치체이동 (translation) 양상을 보였다.2. 대구치의 견인 훅의 위치가 제2대구치의 설측 브라켓의 높이에 있고 전치부의 lever arm 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전치부의 정출을 동반한 경사 (extrusive tipping) 이 심하고 lever arm 의 길이가 20mm 인 경우 전치부의 정출은 미약하였다.3. 전치부의 lever arm 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견치는 협측 방향으로 치관이 전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 때 대구치의 견인 훅의 위치가 TPA 의 구개 중앙 측에 있을 때보다 TPA 의 가장자리측에 있을 때 더 많은 양의 치관 전위 양상을 보였다.4. 구치부의 변위양상은 대구치의 힘의 작용선의 위치가 치근 분지부인 경우 근심치체 이동 양상으로, 치근첨 위치인 경우 치근이동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상악 6전치의 후방견인시 전치부의 lever arm 의 길이가 전치부의 후방 견인 양상에 영향을 미치며 lever arm 의 길이가 20mm이며 구치부 견인훅의 위치가 구개 중앙부에 있을 때 전치부 분절의 정출없이 측방 확장 및 치체이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Lingual sliding mechanics에서의 lever arm의 효과에 대한 유한요소분석 | - |
dc.title.alternative | A finite element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lever arm in lingual sliding mechanics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Kyeong Hee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