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67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토끼 두개골 결손부에서 블록형과 분말형 hydroxyapatite의 골전도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bone regeneration in rabbit calvarial defect with particulated and block hydroxyapatite graft 
Authors
 구순자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상실된 치주조직을 회복시키거나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골재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합성골 이식재 중 HA (hydroxyapatite)는 자연골을 구성하는 성분과 가장 유사하며 골전도성 재료로 오래전부터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과적으로 형성된 토끼의 두개골 결손부에서 분말형 HA와 블록형 HA의 골전도 효과를 분석하였다. 3.0-3.5kg 무게의 생후 9-20개월 된 16마리의 토끼 (New Zealand white male rabbit) 두개부에 외경 8mm trephine bur를 이용하여 4개의 원형 골 결손부를 형성하였다. 각각의 결손부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처치하였다. 1) 대조군 : 이식재를 넣지 않고 혈병으로만 채워지도록 유도, 2) Bio-Oss (Geistlich Pharma, Wolhusen, Swizerland)이식, 3) 분말형 HA 이식, 4) 블록형 HA를 이식하였다. 8마리씩 4주와 8주의 치유 기간 후 희생하여 통상의 방법대로 처리하였다. H-E 염색 후 10배, 100배율에서 조직학적으로 관찰하여 분석하였다. 대조군은 결손부 내부가 대부분 결합 조직으로 치유되었으며 소량의 신생골만이 형성되었다. Bio-Oss군은 8주까지 많은 이식재가 잔존하였고, 이식재를 둘러싼 형태로 신생골이 관찰되었다. 입경 4.5μm의 분말형 HA군은 잔존 이식재의 많은 부분이 흡수되었으며 조직 증대량이 적고, 결손부 변연에 인접한 부위에서 제한적으로 신생골이 형성되었다. 블록형 HA군에서는 4주 후부터 다른 군보다 신생골 형성량이 많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블록형 HA 이식재는 토끼의 두개골 결손부에서 분말형 HA와 Bio-Oss 이식재보다 효과적인 골전도 역할을 하며, 앞으로 재생 치료 영역에서의 효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많은 표본 수에서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81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