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inuous peritoneal dialysis vs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complication compare
Authors
조수진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말기 신부전은 신장의 배설 기능과 조절 기능을 대신하는 투석(혈액투석, 복막투석)이나 신장 이식과 같은 신대체 요법이 필요한 질병이다. 이식의 경우 2007년 한 해 동안 뇌사자 기증으로 280명의 환자가 수술을 받을 수 있었지만, 이는 대기자의 5% 미만으로 말기 신부전 환자에서 신대체 요법의 대부분은 투석 방법이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대다수 말기 신부전 환자가 혈액투석 요법을 시행하였으나 최근 복막투석 환자가 점차 증가하고 있고 자동 복막투석에 대한 선호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자동 복막투석을 시행하는 환자가 복막투석 중 12%로 적어 자동 복막투석 환자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투석을 시작하는 환자의 투석 방법 선택과 투석을 유지하고 있는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과 자동 복막투석을 시행하는 환자를 구분하여 환자의 특성과 투석 방법에 따른 차이점, 복막투석의 합병증 발생을 비교해 보았다.
연구는 CAPD군 45명과 APD군 42명으로 복막투석 환자 총 87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08년 5월부터 8월까지였고, 조사 대상은 전산화된 복막투석실 기록지와 진료 기록부를 바탕으로 대상자의 일반적인 사항과 임상 검사 결과, 투석 관련 정보, 복막투석 합병증 발생과 경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Window-SPSS 12.0 program을 이용하였다. 대상 군별 일반적 사항과 측정값의 비교는 t-test와 chi-square test를 시행하였다. 합병증 발생 관여인자에 대한 검정을 위해 단변량 분석으로 chi-square test와 Fisher's exact test를 시행하였고, 다변량 분석으로 Cox's proportional hazards 분석과 Logistic regression 분석 방법을 시행하여 위험 인자에 대한 상대 위험도를 구하였다. 그리고 투석 방법별로 합병증 발생 기간 산출 및 비교는 Kaplan-Meie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APD군과 APD군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성별, 연령, 보험의 종류, 직업 유무, 투석 보조자 유무, 과거력과 원인 질환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시작 시점에서 두 군 모두 가이드라인에서 벗어나지 않는 Kt/Vurea를 유지하여 적절한 투석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3) 총 복막투석 기간은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이전의 다른 복막투석 방법을 시행한 기간은 투석 방법 전환 사유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복막투석 합병증의 발생에서 복막염 발생을 높이는 요인은 연령이며 투석 방법은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출구 및 터널염증은 단변량 분석에서 직업의 유무와 혈청 알부민, 투석 기간이 유의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다변량 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염증성 합병증 중 탈장과 통증은 복막투석 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도관 전위 및 기능부전은 단변량 분석에서 복막투석 방법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다변량 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은 단변량 분석에서 연령과 statin 약제의 복용 여부, 투석 방법이 유의한 요인이었으나 다변량 분석 결과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지속성 외래 복막투석과 자동 복막투석 방법에서 투석의 적절성이나 합병증 발생에 차이가 없으므로 환자의 투석 전 직업이나 활동 여부, 교육정도, 가족상황, 주거 환경, 삶의 질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고 각 투석 방법별 장단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한 후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투석 방법을 최종 결정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지속적인 투석 생활에서 환자의 이행도를 높여 건강한 투석 생활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기 때문이다
[영문]End stage renal disease, is the disease that needs kidney replacement therapy such as dialysis or kidney transplantation, which are substituted for excretory and control function of the a kidney.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among peritoneal dialysis methods, which is used in 15.7% of all kidney replacement therapies, is selected in order to keep the guideline which directs proper solute and moisture removal as residual renal function decreases two or three years after dialysis starts. Recently more and more patients choose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from the beginning in order to increase ultrafilteration volume and dialysis volume. In addition, patients who choose APD can make use of their daytime flexibly. However, in Korea, there is almost no reports on not only specific features related to peritoneal dialysis but also the patients who develop complications or maladjustment. Since this therapy is being practiced with relatively small number of patients in many hospitals, the research on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has rarely been carried out up to now. As a result, the materials on which we can compare continuous ambulato교 peritoneal dialysis with automated peritoneal dialysis are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research, after dividing patients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peritoneal dialysis methods, the patients' clinical checkups and general features will be examined. On the basis of finding on this examination,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between two peritoneal dialysis methods will be compared.
This research is projected to provide reference materials necessary in deciding which dialysis method is appropriate for new patients. These materials are also helpful in treating existing patients as wel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87 patients who are under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45 patients are treated with CAPD while 42 patients are treated with APD. In this research, general features, clinical checkup results, the information involved dialysis, and development of some peritoneal dialysis complications and their progress will be examined based on computerized peritoneal dialysis unit's records and other medical records.Collected materials were analyzed by using Window-SPSS 12.0 program. The comparison between general features and the value measured in the research were tested with t-test and chi-square test. Verification of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s conducted by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rough Cox's proportional hazards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on verified factors, relative risk of risk factor is obtained. Lastly Kaplen-Meier method was used in order to analyze the calculation and comparison of the period of complication development depending on different dialysis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quiring any serious attention in general features, patients' past medical history, and origin disease between two groups. In addition, appropriate dialysis is being carried out keeping Kt/Vurea as far as both the groups don't deviate from given guideline from the beginning. The total period of dialysis between two groups shows no differences, but depending on the reason for conversion into different dialysis method, there are noticeable differences in the period during which previous peritoneal dialysis method has been administered.
In developing peritoneal dialysis complications, it is analyzed that peritoneal dialysis methods have no relation with the cause of peritonitis, an inflammatory complication, exit site and tunnel inflammation. It is shown that the age plays important role in heightening the risk of peritonitis. Of complications which has no inflammation, a hernia and a pain don't show any differences. Howev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univariate analysis, in catheter lacation and cardiac insufficiency, there are some differences to be attended to, whereas multivariate analysis shows no statistical matter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ge, internal application of statin medicine, and dialysis method are proved to be the main factors of the development of complications involving heart's-blood in univariate analysis test.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hows that which method to choose between CAPD and APD doesn't have any seriou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s of peritoneal dialysis complications. (the developments of complications of peritoneal dialysis) Therefore, it seems that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and convenience of selected method should be primarily taken into account in deciding which peritoneal dialysis method is applied. It will reduce concern derived from deciding peritoneal dialysis method depending upon patients' p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