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2 629

Cited 0 times in

일개 대학병원에 등록된 암환자들에 대한 생존 분석

Other Titles
 Survival rate analysis based on cases out of one university hospital : using period analysis : 기간분석을 이용하여 
Authors
 이현경 
Issue Date
2009
Description
역학통계학과/석사
Abstract
[한글]암에 대한 조기 진단과 암치료법의 발달로 암치료율이 향상되고 있다. 그러나 암치료와 다양한 보건 정책 개발의 척도가 되고 있는 생존율을 산출하는데 있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코호트 분석 방식이나 완전 분석 방식의 생존율은 오래전에 진단받은 환자들로 인해 실제 생존율에 비해 생존율이 낮게 계산된다. 기간 분석(Period Analysis) 은 일정 기간에 등록된 초진 환자 중에서 생존율에 관심 있는 기간에 추적된 환자만을 대상으로 생존율을 분석함으로서 추세를 반영하는 생존율을 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코호트 방식과 완전 분석방식, 기간 분석 방식을 사용하여 관찰 생존율과 상대 생존율을 산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는 1개 대학병원에 등록된 51,982건의 암환자 등록 자료중 7대 다빈도 암(위암, 간암, 폐암, 대장암, 유방암, 자궁 경부암, 갑상선암) 34,217건이었으며 크게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생존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는 1995년에서 2004년 환자에 대해 코호트분석, 완전분석, 기간분석을 사용하여 7대 암종별로, 연령군별로 5년 상대 생존율과 관찰 생존율을 산출하였는데 이때 기간 분석은 2000년에서 2004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령군은 0-54세, 55-64세, 65-74세, 75세 이상군으로 분류하였다. 두 번째는 기간 분석을 이용하여 7대 암에 대한 1999년과 2004년의 상대 생존율의 차이를 연령별로, 병기별로 알아 보았다. 연구 결과 1. 첫 번째 분석에서는 코호트, 완전 분석 방법보다 기간 분석으로 산출한 5년 생존율이 가장 높게 산출되었다. 또한 젊은 연령층의 생존율이 75세 이상 연령층의 생존율보다 대체로 높게 산출되었다. 2. 두 번째 기간 분석에서는 2004년의 생존율이 1999년의 생존율보다 높게 산출되었다. 연령별로 비교할 때 젊은 연령군의 생존율은 2004년에 대부분 향상했으나 65세 이상 환자군은 생존율이 향상하지 않거나 오히려 낮아진 경우도 있었다. 병기별 생존율 역시 1999년보다 2004년에 대한 생존율이 대체로 높게 산출되었다. 기간분석은 최근 추세를 반영해서 생존율을 산출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다. 향후 최근 개발된 치료에 대한 결과가 반영된 생존율을 산출하거나, 10년, 20년간 암 생존율의 추세를 검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면 적절한 생존율 정보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Cancer survival rates show gradual improvement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cancer treatment methods. The cancer survival rates are a barometer to measure the effects of cancer treatments and to develop cancer related health policies. To calculate the survival rates, the conventional ways like cohort and complete analysis, however, tend to bring about pessimistic results due to the outdated information. A period analysis is conducted to show the trend of the survival rates by calculating the survival rates focused only on the patients who have been followed-up for their survival rates during the period interested. This study calculates the observed survival rates and the relative survival rates by various analysis methods. It is based on 34,217 cases with seven leading cancers(stomach, liver, lung, colorectum, thyroid, breast, cervix) out of the total 51,982 cases registered in the hospital for 1995-2004. First, the study computes the observed survival rates and the relative survival rates with the three methods: cohort, complete, and period analysis. The period analysis deals with the years of 2000-2004 and its age is divided with four groups: 0-54, 55-64, 65-74, 75+. Second, the relative survival rates for the years of 1999 and 2004 are figured using the period analysis, which are compared by cancer areas, age groups, and stagesof cancer.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5-year survival rate calculated by a period analysis showed the highest results. The younger age group shows the higher survival rates than them of the older age group. 2. Mostly, the 5-year survival rates of 2004 were higher than that of 1999. But the survival rate of the 65+ age group did not show much higher survival rate in 2004. In some cases, they showed lower rates than them of 1999. When the survival rates were computed by stage group, most of the survival rates of 2004 were also higher than that of 1999. This study shows the period analysis is a good method in obtaining more up-to-date estimates of the long-term survival rates. The period analysi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ew treatments or the new diagnostic methods without time lag.
Files in This Item:
T0108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63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