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94 548

Cited 0 times in

한국인에서 혈청 GGT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 연구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serum γ-glutamyltransferase(GGT) and metabolic syndrome 
Authors
 안정아 
Issue Date
2009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2006년 4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대사증후군 연구 사업에 참여한 20세 이상 87세 이하의 한국인 9,195명을 대상으로 문진표와 신체계측 및 혈압 측정과 혈액 검사에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혈청 GGT와 대사증후군의 관련성에 관하여 알아본 연구이다.

서구화된 생활 습관과 급속한 경제 발전으로 인한 심혈관계 질환 발생의 증가는 개인의 고통은 물론 국가적으로도 상당한 노동력 상실 및 과중한 의료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이미 고령화시대에 접어든 우리나라에서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 혈액학적 수치를 발견하고 특성을 이해하는 노력은 계속적으로 요구되며 임상에서의 적용을 위한 연구 또한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혈청 GGT가 간담도계 질환에서 가장 예민한 지표로 알려져 왔으나, 알코올 섭취 외에도 심뇌혈관질환과도 상관관계가 있으며 노화를 일으키는 산화스트레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선행 연구들을 통해 심혈관계 위험인자들의 군집질환인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남자에서 연령, 흡연, 알코올섭취, 운동여부, HOMA-IR과 BMI를 보정한 대사증후군의 교차비는 0.97 (0.70~1.33), 1.85 (1.37~2.50), 2.63 (1.95~3.55) 이었다. 여자에서는 1.17 (0.64~1.77), 2.05 (1.30~3.23), 2.13 (1.37~3.32) 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임상에서 활용하고 있는 혈청 GGT의 적용을 확대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작은 근거로 제시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또한 혈청 GGT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생활습관의 여부가 교호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흡연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정상수치 내에 있는 혈청 GGT라 할지라도 혈청 GGT의 증가는 심혈관질환 발생을 예측하는데 도움을 주는 혈액학적 수치임을 강조할 수 있으며, 부적절한 생활습관에서 기인한 건강상태의 적신호임을 예측 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영문]Background : The metabolic syndrome is cluster of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serum GGT has been commonly used as a marker for excessive alcohol consumption or liver disease. Recently, it has been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factors. Purpose : We performed this study to see : 1) Association between serum GGT and metabolic syndrome, 2) Association between serum GGT and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3) After stratifications by BMI, alcohol intake, smoking, exercise, association between serum GGT and metabolic syndrome in men. Methods : The 9,195 subjects (aged 20~87 years, 5,217 men and 3,978 women) enrolled in this study who visited Severance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and Ewha Mokdong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for health checkup in 2006. 4~ 2007. 6. We measured height, weight, blood pressure, serum GGT, lipid profiles, fasting glucose, fasting insulin, AST, ALT, WBC, uric acid, CRP and asked subjects about lifestyle. Results : After adjustment for age, alcohol intake, smoking, exercise, BMI, HOMA-IR, the odds ratio for incident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across baseline GGT quartiles (1, 0.97, 1.85, 2.63 in men, 1, 1.17, 2.05, 2.13 in women). The association depended on the status of smoking (P : 0.001 for interaction). serum GGT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r=0.35, P<.0001 in men and r=0.21, P<.0001 in women) with triglyceride. Conclusions : serum GGT was associated with a risk of incident metabolic syndrome. The association depended on the status of smoking (P : 0.001 for intera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erum GGT can be used as a sensitive marker of cardiovascular diseas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control of lifestyle.
Files in This Item:
T01076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56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