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 543

Cited 0 times in

개원의와 봉직의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비교연구

Other Titles
 Comparative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between self-employed and salaried physicians in Korea 
Authors
 김원진 
Issue Date
2009
Description
보건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개원의와 봉직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을 비교 연구하여,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개원의와 봉직의의 직무만족도 향상방안을 제시하고 의사인력의 합리적, 효율적인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각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인과관계 모형을 설정한 후 회귀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에 근무하는 개원의 200명, 25개 병원의 봉직의 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이다. 설문조사는 동아제약 영업사원이 직접 방문하여 2008년 11월 10일부터 11월 28일까지 18일간 자기 기입식으로 이루어졌다. 설문지는 개원의용과 봉직의용으로 구분하여 10명의 영업사원에게 40부씩 배포하였으며, 배포된 총 400부의 설문지 중 개원의용 설문지 68부 봉직의용 설문지 98부가 회수되어 39.25%의 회수율을 보였다. 회수된 설문지중 설문응답이 불성실한 9부를 제외한 157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응답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종합해 보면 개원의는 3.41점, 봉직의는 3.61점으로 보통수준(3점)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개원의의 직무만족과 독립변수들의 상관관계의 경우, 직무만족과 정(正) 상관관계인 변수로는 긍정적심성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일의 중요성(.776), 자원공급의 적절성(.765), 업무의 다양성(.744), 직업의 안정성(.687), 보상(.422)의 순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직무만족과 역(逆)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로는 부정적 심성(-.713)이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인구특성변수들의 경우, 결혼여부(-.093), 소득수준과 운영기간(.037), 총 근무기간(.007), 연령(.002)으로 직무만족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봉직의의 직무만족과 독립변수들의 상관관계의 경우, 직무만족과 정(正)상관관계인 변수들을 보면 직업의 안정성이 직무만족과 .649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다음으로는 성장기회(.417), 조직에 대한 견해(.404), 긍정적 심성(.395), 승진기회(.359), 직속상사의 지원(.296), 일의 중요성(.227), 업무의 다양성(.220), 자원공급의 적절성과 업무의 명확성(.204)의 순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여가시간활용(.153), 직장동료의 지원(.121), 업무의 자율성(.044)은 직무만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직무만족과 역(逆)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들을 보면 이직의도(-.577)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부정적 심성(-.321), 업무갈등(-.281), 업무량(-.206), 보상(-.140)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구특성변수들의 경우, 총 근무기간(.253)과 소득수준이(.231) 직무만족과 유의한 양(+) 의 상관관계를 맺고 있었다.

넷째, 개원의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보면, 업무의 다양성, 업무의 자율성, 긍정적 심성의 3개 변수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봉직의의 경우는 업무의 자율성, 직업의 안정성, 그리고 긍정적 심성의 3개 변수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체 독립변수들이 직무만족도의 변이를 설명하는 정도를 보면, 개원의의 경우 88.6%, 봉직의의 경우 54.1%로 본 연구에 사용된 독립변수들은 봉직의보다 개원의 직문만족도 변이를 더 잘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다.

첫째, 개원의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긍정적 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의과대학 교육 시 의료의 본질과 사명 윤리의식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마인드 컨트롤과 일과시간 이후에 다양한 취미생활을 가져 봄으로 긍정적 마인드를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개원의들의 일상적 반복적 업무는 직무만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는 더 많은 지식과 기술적 숙련은 통해 진료표방 과목 늘리기, 각종 건강클리닉 개설, 비만? 탈모 ?생활습관 개선?식이요법 등의 웰빙 클리닉 개설, Group 진료 및 집단 개원, 중소병원과 개방병원 협약을 맺어 장비를 활용한 수술, 등으로 업무를 다양화 시켜 볼 수 있다. 그리고 제도적 차원에서는 다양하고 자율적인 진료 및 처방권 보장 및 이에 따른 책임의 강화, 의사협회와 보건복지부의 합의를 통한 보험 수가의 적절한 산정 등이 필요 할 것이다.

둘째, 봉직의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1년의 단기계약에서 3~5년 이상의 장기계약으로의 계약조건 개선, 장기근무자의 인센티브제공, 연구년, 안식년, 선진진료기법의 도입을 위한 국내외 연수기회 제공 등의 다양한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며, 병원내의 중요한 의사결정 참여 적극 유도, 약물 및 진료재료 및 장비 선택권의 보장이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개원의와 봉직의의 직무만족도 연구의 학술적 활용과 의사들의 효율적 인사관리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between self-employed and salaried physicians in Korea. The sample used in the study consisted of 68 self-employed physicians working at local clinics and 98 salaried physicians working at 25 hospitals in 3 provinces of Kyungki, Gangwon, and Chungbuk.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10 to 28, 2008, and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ollowing variables hav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self-employed physicians: job variety, work autonomy, and positive affectivity. In case of salaried physicians, such variables as work autonomy, job security, and positive affec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the health care policy-mak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he different factors of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between self-employed and salaried physicians. That means they need to help self-employed physicians to widen the scope of their work, to give more autonomy in their daily work. When it comes to the salaried physicians, the hospital administrators should make an effort to help them have more work autonomy and more job security.
Files in This Item:
T01067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48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