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7 785

Cited 0 times in

'의사-환자'간 합리적 의사소통에 대한 대화분석 연구

Other Titles
 Conversation analysis on the rational communica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 in connection to Habermas' <universal pragmatics> : 하버마스의 < 
Authors
 김영신 
Issue Date
2009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2006년 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창립과 더불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의료계의 관심은 증가되고 있으나 선진국에 비해서 국내의 연구나 교육은 미미한 상태이며, 더욱이 의료커뮤니케이션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의사-환자’간 의사소통은 국내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이다.

하버마스는 합리성을 중심으로 비판성과 규범성을 연결하는 보편화용론(普遍話用論)으로 상호간의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의사-환자’간 의사소통 문제에 하버마스의 보편화용론(普遍話用論)을 적용하여 ‘의사-환자’간 의사소통을 분석하고 나아가 ‘의사-환자’간 합리적이고 원활한 의사소통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화분석법(conversation analysis)을 사용하기 위해서 ’의사-환자‘간 대화자료를 수집하고 전사(transcript)하였다. 해당 연구는 대학병원 내과 전문의 3인의 외래 진료내용을 각 의사 별로 3회 녹음하여 총 61례의 에피소드를 수집하였다. 해당 자료를 사실적으로 분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규범적 틀에 따라 평가하기 위하여 하버마스의 보편화용론에서 제시한 네 가지 측면의 분석틀에 따라서 진료 대화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상호주관적 관계가 정립되지 못한 대화가 61례 중 26례(43%), 대상수준의 지시가 불명확한 대화는 14례(23%)로 관찰되었다.

2. 발화수반적(發話隨伴的)인 힘을 바탕 짓기 위한 네 가지의 타당성 요구 가운데 이해가능성은 9례(15%), 수행적 능력의 정확성은 3례(5%)에서 지켜지지 않았지만, 화자의 성실성이나 명제적 내용의 진리성이 위배되는 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3. 발화행위 유형의 적절한 사용을 볼 때 의사소통사(意思疏通詞)가 적절하게 사용되지 못 한 경우는 10례(16%), 규제사(規制詞) 사용이 적절하지 않은 대화는 2례(3%)에서 관찰되었으나 불변사(不變詞)와 표현사(表現詞)가 적절치 못 한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4. 발화행위를 선택하고 적용할 균등한 기회가 분배되지 않은 것으로 관찰된 사례는 7례(11%)로 환자에게 불리하게 적용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평가할 때 ‘의사-환자’간 의사소통은 합의를 목적으로 하는 합리적인 의사소통이라기보다는 (의학적 지식의 불균형으로) 일방적이고 수직적인 대화에 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합의에 이르지 못하는 의사소통은 의사의 사실 확인이나 외적 명령에 그치게 되므로 환자의 자발적 동의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치료적인 관계형성에도 장애물이 된다.

따라서 보다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환자를 주체로 인정하는 상호주관성을 확립하고 말하는 대상에 대하여 명료하게 할 것과 의사의 발화(發話)가 환자에게 이해되도록 전문용어를 쉽게 풀어 설명할 필요가 있다. 또한 발화행위(發話行爲) 유형을 적절하게 사용해야하고 대화과정에서 평등한 관계를 마련하기 위하여 상호 대등하게 발화하고 반론을 제기할 수 있도록 의사 및 환자 모두에게 발화행위를 선택하고 적용할 균등한 기회가 분배되어야 한다.



[영문]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nalyze ‘doctor-patient’ communication through the research methodology of conversation analysis.

For this study, we recorded three internists’ medical services for outpatients at a university hospital, and transcribed the records. As the methodology for analyzing collected data, we adopted Habermas’ universal pragmatics. Based on Habermas’ universal pragmatics, we suggested an analysis frame of four aspects, and analyzed the collected contents of conversation between the doctors and patients.

In the results, the doctors and patients could not make an inter-subjective horizon, and many conversations with uncertain object level were observed. In addition, among the four types of validity demanded for basing illocutionary force, understandability and the accuracy of performative ability were not observed properly.

With regard to the appropriate use of the type of speech act, we observed conversations in which the use of communicatives and regulatives was not appropriate, and opportunities for choosing and applying speech acts were applied disadvantageously to pati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doctor-patient communication is more one-way and vertical communication (due to imbalance in medical knowledge) than rational communication seeking agreement.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have desirabl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Files in This Item:
T01067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48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