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037

Cited 0 times in

건강검진에서 당뇨병 선별검사로서 HbAlc와 Fructosamine의 유용성

Authors
 홍성대 
Issue Date
1992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우리나라에서 당뇨병의 유병률은 연구자에 따라 0.91%에서 3.5%까지로 보고되고 있다. 당뇨병과 당내성장애의 진단에는 경구당부하검사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또는 정맥내 당부하시험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IVGTT)등이 실시 되고 있

는데 방법자체의 복잡성, 진단기준설정 문제 외에도 검사의 번거로움과 시간 및 경제적 손실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hemoglobin Alc(HbAlc : 당화혈색소)와 fruc tosamine (당화단백)의 측정이 경구당부하 검사를 대신하여 당뇨병의 선별검사나 조기진단에 유용한 지를 알아 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검사대상군은 1992년 1월 부터 4월 까지 H 검진기관에 건강검진을 받기위해 내원한 당뇨병의 증상이 없는 검진자 83명과 1992년 1월 부터 4월까지 Y 대학병원에서 당뇨병으로 진단받고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 54명을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기준에 따라

정상인군 (n=61), 당내성장애군 (n=22) 과 당뇨병 환자군 (n=54) 으로 분류하였다. 각각의 군에서 공복혈당치, 식후2시간 혈당치, HbAlc치와 혈청 fructosamine치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3군의 공복혈당치와 HbAlc의 상관관계를 보면 정상인의 상관계수는 r=0.25 (p>0.001)로 낮았으나 당내성 장애군과 당뇨병환자에서의 상관계수는 각각 r=0.56 (p<0.001),r=0.66 (p<0.001)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정상인에서 공복혈당치와 fructosamine의 상관관계는 r=0.18 (P>0.001)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나 당내성 장애군과 당뇨병환자의 경우에서는 각각 r=0.66 (p<0.001), r=0.65 (p<0.001)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정상인, 당내성장애환자 및 당뇨병 환자 137명의 공복혈당치와 HbAlc의 상관계수는r=0.90 (p<0.001)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 공복혈당치와 fructosamine의 상관관계도 r=0.88 (p<0.001)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정상군과 당뇨병환자군에서의 HbAlc의 예민도와 특이도는 각각 86.2%, 96.7%로 높았고 이 두군 사이에서 fructosamine의 예민도와 특이도는 각각 98.3%, 88.5% 였다.

5. 공복혈당치가 140 mg/dl 이하로 정상으로 판단 되는 대상자에서 당내성 장애군을 진단하기 위한 HbAlc의 예민도는 50.0%로 낮았고 특이도는 98.7%로 높았으며 fructosamine의 예민도와 특이도는 각각 36.4%, 88.5%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공복혈당치가 정상이연서 HbAlc 또는 혈청 fructosamine이 상승되어 있는 경우 혈액검사만으로 경구 당부하검사를 대신하여 당뇨병 혹은 당내성 장애를 진단 할 수는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HbAlc 또는 fructosamine치 결과가 정상범위를 초과한 경우에는 당내성 장애 또는 당뇨병 환자인지를 감별하기 위해 경구당부하시험검사등을 실시하여 조기에 확인할 기회를 갖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 잠재성 당뇨병및 당뇨병의 조기발견에 유응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문]

Prevalence of diabetes reported in Korea vary from 0.91 to 3.5%. The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r intravenous glucose tolerance test are widely used for the diagnosis of diabete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Because of lack of standardization and time consuming, inconvenience of diagnosis of diabetes and requirement of a great deal of patient cooperation, determination of glycosylated hemoglobin (HbAlc) and more recently fructosamine were introduced as the alternative method of screen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alues of fructosamine and HbAlc for the purpose of diabetes screening.

Subjects were 137 of whom 83 visited H institute for health check and 54 were diabetes patients visiting Y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to April, 1992. Subjects were classified as normal healthy group (n=61), impaired glucose tolerance

group (n=22) and diabetes mellitus group (n=54) based on NIH criteria. All subjects were measured blood glucose, HbAlc and fructosamine after fasting and postprandial 2 hours blood glucose.

1. Correlation between fasting blood glucose and HbAlc in healthy subjects were poor (r=0.25) (p >0.001), however, impaired glucose tolerance and diabetes group showed good correlation.

2. Correlation between fasting blood glucose and fructosamine in healthy subjects were not good, however, impaired glucose and diabetes group showed good correlation.

3. The HbAlc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136 subjects with fasting blood glucose but there were correlation between fasting blood glucose and fructosamine level.

4.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HbAlc in normal healthy group and diabetes group were high (86.2%, 96.7% respectively) and fructoamine also showed good sensitivity (98.3%) and specificity (88.5%).

5. When the aim was to separate impaired glucose tolerance from healthy subjects who had blood glucose level less than 140 mg/dl, the sensitivity of HbAlc was low (50%) whereas specificity was 98.7%. Fructosamine was less sensitive and specific than HbAlc (36.4%, 88.5%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neither HbAlc nor fructosamine is useful for screening diabetes and impaired glucose tolerance group. However, if subjects show normal blood glucose level and abnormal HbAlc or fructosamine level, it will give the chance to perform oral glucose tolerance test to diagnose diabetes or impaired glucose toleranc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822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4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