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975

Cited 0 times in

택시운전기사의 호흡기증상과 폐기능장애에 관한 연구

Authors
 임종한 
Issue Date
1993
Description
환경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택시운전기사의 호흡기증상과 폐기능장애를 연구하기 위하여 1993년 4월 1일에서 동년 4월 13일 사이에 인천시내를 운행하는 영업용 택시기사 94명을 조사대상으로 설문지조사, 폐기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대조군 94명은 분진 및 유해가스에 직업적으로 노출되지 않은 사무직 근로자 중 조사군과 나이, 성, 흡연유무를 짝지어 선정하였다. 조사대상자에 대하여서는 흡연력, 직업력과 병력을 자세히 조사하였다.

호흡기증상에 대하여서는 영국의학연구회(British Medical Research Council)의 호흡기증상에 관한 설문조사표를 가지고 조사하였는데, 설문조사에 포함된 내용은 기침, 객담,흉부압박감, 호흡곤란, 흉부질환 등이었다.

폐기능검사에서는 FVC(노력성 폐활량), FEV^^1.0 (1초치 노력성호기량), FEV^^l.0% (1초율), MMF(노력성호기중간기류속도), PEF(최대호기속도)를 측정하여 택시기사군과 대조군, 택시기사흡연군과 대조군흡연군, 택시기사비흡연군과 대조군비흡연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택시운전기사는 기침, 객담, 흉부압박감, 호흡곤란, 흉부질환등의 호흡기증상에 있어 대조군보다 높은 유병율을 보였으며, 호흡기증상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택시운전기사중 제한성 환기장애 비율이 50%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택시운전기사중 기침을 호소하는 자는 40.4%, .객담이 나온다는 자는 75.5%이었다.

2. 흡연자에 있어서 택시운전기사는 대조군보다 기침, 객담, 흉부압박감, 호흡곤란, 흉부질환 등의 호흡기증상에 있어서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 호흡기증상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3. 비흡연자에 있어서 택시운전기사는 대조군보다 기침,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에 있어서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 호흡기증상 빈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4. 택시운전기사에게서 측정된 FVC, FEV^^1.0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낮았다. 택시운전기사에게서 측정된 MMF, PEF은 대조군보다 낮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5. 흡연자의 경우 택시운전기사에서 측정된 모든 폐기능 검사치(FVC, FEV^^1.0, MMF, PEF)는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6. 비흡연자의 경우 택시운전기사에게서 측정된 FVC, FEV^^1.0은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비흡연자에게서 측정된 MMF, PEF은 택시운전기사와 대조군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상으로 택시운전기사군과 대조군, 택시운전기사 흡연군과 대조군 흡연군, 택시기사비흡연군과 대조군 비흡연군의 호흡기증상과 폐기능 장애 정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택시운전기사에게서 객담, 호흡곤란등 호흡기증상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유병률을 보였으며, 기침, 객담, 흉부압박감, 호흡곤란, 흉부질환등의 호흡기증상 빈도도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택시운전기사에서는 노력성폐활량(FVC), 1초치 노력성 폐활량(FEV^^1.0)이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제한성 환기장애 비율이 50%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영문]

The prevalence of repiratory symptoms and ventilatory capacity were studied in a group of 94 taxi drivers. As a control group, 94 whitecollar workers was also included in this study. A higher complaint for respiratory symptoms was found among taxi drivers than control workers. The smokers among taxi drivers had a higher

complaints of cough, phlegm, chest tightness, shortnes of breath than control smokers. The results of measurement for FVC, FEV^^1 in the taxi drivers were reveal to lower figure in comparison with control groups. The measurement value for MMF. PEF measured in the taxi drivers were lower than control groups, bu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smokers all the measured parameters (FVC, FEV^^1.0, MMF, PEF) of ventilatory capacity measured in the taxi drivers were significantly lesser than control. The ventilatory capacity of taxi drivers was impaired, and the main type of impairments was ristricted patter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45770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40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