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24 714

Cited 0 times in

한국인에서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추정의 유효성

Other Titles
 (The) validity of stature prediction using knee height in Korean 
Authors
 황인철 
Issue Date
2008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과 보행이 불가능하여 신장의 측정이 어려운 사람에게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을 적용하여 그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며, 선정된 대상을 임의로 두 군으로 배정하여 한 군에서 유도된 공식을 다른 군에 적용하는-교차타당성만을 평가했던-이전의 연구방법과는 다르게, 보행 및 신장의 측정이 가능한 성인에게서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을 유도하고 이것의 교차타당성 평가 뿐 아니라 실제 좌식생활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나 노인에게 적용하여 그 임상적 타당성까지 평가한 최초의 연구이다.

공식 유도 및 교차타당성 평가는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의 자료를 이용하여 성장이 멈추었다고 판단되는 20세부터 69세까지의 남녀 5063명(남자 2532명, 여자 2531명)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5세 또는 10세 간격으로 층화한 후 각 연령대에서 임의로 20%를 추출하여 교차타당군으로 선정하고 나머지 80%에서 공식을 유도하였다. 임상적 타당성 평가는 두 종류의 대상군을 이용하여 진행하였으며, 65세 이상의 건강한 노인 군과 나이제한 없는 20세 이상의 보행이 불가능한 군이 그 대상이었다. 노인 군의 경우 2008년 4월 한 달 동안 가천의과학대학교 길병원 가정의학과 외래 및 종합검진센터에 내원한 65세 이상의 남녀 33명(남자 7명, 여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신장의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현 병력 및 과거병력이 없고, 홀로 신장을 측정할 수 있는 자들이었다. 보행불가능군의 경우 동일 기간 동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신촌 세브란스병원 중환자실과 재활의학과에 입원해 있는 남녀 39명(남자 25명, 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은 적어도 연구기간동안 좌식생활을 하고 있었고, 좌식생활을 하기 이전의 신장을 의무기록을 통해 조회할 수 있는 자들이었다. 대상자에 선정된 모든 사람들의 키, 몸무게, 나이, 그리고 무릎 키를 기록하였다. 공식유도군에서 나이와 무릎키를 독립변수, 키를 종속변수로 하여 다중선형 회귀식을 유도하고, 이 식에 대하여 교차 타당성 평가 및 임상적 타당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인에서 나이와 무릎키를 이용하여 신장을 유추하는 공식은 남녀모두에서 매우 높은 타당도를 보였으며, 이는 보행이 불가능한 환자와 65세 이상의 노인에게 임상적으로 타당하게 적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은 65세 이상의 노인 뿐 아니라 실제 보행이 불가능하고 신장을 측정할 수 없는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다. 향후 무릎키를 이용한 신장의 추정식에 대한 유효성 뿐 아니라 그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겠으며, 신장의 측정이 불가능한 사람들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한 신체계측 시 무릎키 측정을 포함시켜야 하겠다.







[영문]

Information on height is prerequisite in metabolic and nutritional assessment of patients. Practical difficulties are often encountered to measure the height of the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 arising from the disability of standing straightly. This study was designed for validating height-estimated equation using knee height in elderly over 65 years old and handicapped pers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perform the clinical validation applied in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 as well as cross validation of the equation for predicting height using knee height induced by healthy adults. This study is discriminated from the previous study in that only cross validation, which an equation induced by randomly selected group was applied to the other group.

A total of 5063 people (2532 males, 2531 females) ranging in age from 20 to 69 years who are determined to stop growing were included in this study from the SIZE KOREA 2004 database published by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validation group and cross validation group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Clinical validation was performed through two groups; 33 healthy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7 males, 26 females) and 39 handicapped people over 20 years (25 males, 14 females). Height, age, and knee height were recorded in all subjects. Regression model was induced with age and knee heigh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height as a dependent variable. Cross validation and clinical validation were performed with respect to this equation.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are following;

It shows that height-estimated equation using knee height in Korean has high validity on both sex, and that equation was applied efficiently to the elderly and handicapped persons.

Henceforth, there is a need of study that investig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height estimation using knee height, and it should be included measuring knee height on anthropometry of handicapped person and elderly for assessing their nutritional status.
Files in This Item:
T01056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7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