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4 687

Cited 0 times in

특수학교 교사의 구강지식과 구강보건교육 인식도 조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ral knowledge and the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uthors
 황유진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학교 교육의 장에서 교사들의 태도 및 행동이 학생들에게 모범적 역할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교육 인식도를 분석하고,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실태 및 개선방안을 조사하여 학교 내 구강보건교육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12개 특수학교 교사 19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대상자의 특성을 묻는 11문항, 구강보건지식 6문항, 구강보건교육인식도 7문항 등을 포함한 총 37문항으로 구성하여 우편으로 배포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4월 7일부터 5월 9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AS 9.1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F-test)로 분석하였고, 관련요인분석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은 평균 17.25점으로 100점으로 환산 시 71.86점, 구강보 건교육인식도는 평균 23.60점으로 100점으로 환산 시 67.42점으로 분석되었다.

2) 일반적 특성과 구강지식의 관계를 보면, 성별에서는 여자 교사가 평균 17.38으 로 남자교사 16.86보다 조금 높았다. 연령대는 40세 이상이 17.74점으로 가장 높 았고, 교직경력은 10년 이상(p=0.0229)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교육영역으 로는 중복장애가 평균 18.8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정신지체 17.43점, 청각 장애 16.77점 순이었다. 구강보건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지에 대해서 ‘있다’고 응 답한 대상자의 구강지식점수가 ‘없다’고 응답한 대상자 보다 약간 높았다(p=0.5918).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경험 여부에 대한 구강보건지식의 관계 를 보면, 성별에서는 여자 교사가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평균점이 약간 높았다(p=0.2992). 연령대는 40세 이상에서 구강보건교육 경험 이 있는 경우 평균점이 20-29세에 비해 약간 높다(p=0.3714). 교육영역에서는 청각 장애를 지도하고 있는 교사 중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구강보건지식 평 균 점수가 높음을 볼 수 있다(p=0.0560).

4) 일반적 특성과 구강보건교육 인식도는 연령대, 구강보건교육 경험 여부, 세미나 참석 의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40세 이상(평균 24.65)의 구강보건교 육 인식도 점수가 가장 높았고, 20-29세, 30-39세 순이었다(p=0.0033). 교육경험 있는 경우(평균 25.17) 교육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높았고(<.0001), 세미나 참 석의향 있는 경우(평균 24.15) 없다고 답한 경우(평균 22.71)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p=0.0012).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경험 여부에 대한 구강보건교육인식 도는 성별, 연령대, 교직경력, 교육영역, 세미나 참석 의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구강보건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유의하게 높은 인식 도를 보였다.

6) 대상자의 구강보건지식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조사 대상자의 교육영역이 통계적 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성별, 연령대, 교직경력, 구강보건교육 경 험 유·무 등의 요인을 보정한 상태에서 청각장애 학생을 교육하는 교사에 비해 중복장애 학생을 교육하는 교사의 지식점수가 높았다(p=0.0149).

7) 대상자의 구강보건교육 인식도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조사 대상자의 연령대, 교 육 경험 여부, 세미나 참석 의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즉, 성별, 교직경력, 교육영역을 보정한 상태에서 40세 이상 교사가 20-29세 교사 보 다 유의하게 높았다(p=0.0045). 또한 교육경험(<.0001)과 세미나 참석 의향 (p=0.0001)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태도를 나 타내었다.

결론적으로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교육 인식도는 높은 수준이었다. 이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매스컴, 인터넷 정보와 치과 방문 시 구강전문 의료인을 통한 교육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한 지식습득이 가능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구강보건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을 통해 장애아동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점심시간에 담임교사가 매일 지도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구강보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지식 및 전문성 부족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으로 특수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구강전문 의료인의 교육을 통해 교사의 인식 개선과 함께 학교구강보건교육 체계를 정립하고, 학생의 장애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 활성화 및 계속적 학교구강건강관리를 통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base of an oral health education plan in special schools for the education of physically or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by checking the teachers'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the actual state, a plan for improvement and percep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In the study, the data had been collected from 199 special teachers in 12 special schools in Seoul. The method of the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37 questions including 11 questions of general features, 6 questions of knowledge about oral health and 7 questions of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7th of April in 2008 to the 9th of May in 200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F-test) by SAS 9.1 program, for relating factor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analysis of oral health knowledge of teachers, the average score was 17.25, 71.86 of 100, and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the average score was 23.60, 67.42 of 100, which seemed they were relatively on a high level.

2) In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features and oral knowledge, in gender the average score of women teachers was 17.38, that was higher than men teachers' , 16.86. Over 40s(average score 17.74) in ages and over 10 years(p=0.0229) in career, were valuable statistically. In the educational part, multiple disabilities were on the highest level, the average score was 18.80. The second, mentally handicapped, average 17.43, and the next, hearing impairments, 16.77. In the status of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correlation who answered 'yes' has got the higher score of oral knowledge than who answered 'no', were little bit high(p=0.5918).

3) In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of oral health educational experience by general features, in gender, women teachers were on the higher average score of oral knowledge, the more got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In age, over 40s, who has got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average score was little bit higher than 20-29s'(p=0.3714). In educational part, the average score was on the higher, where they've got experience who teach hearing impairments(p=0.0560).

4)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features and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in age,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an intention of attending seminar. The score,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of over 40s was the highest. The second was 20-29s and the next was 30-39s(p=0.0033). The case has got experience of the education, the average score was 25.17, was higher than the other hand(<.0001). The case has got an intention of attending seminar(average 24.15) seemed be on a higher score(p=0.0012) than the other hand(average 22.71).

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by the general features of experience of that, in gender, age, career of the education, part of the education and an intention of attending seminar. Totally, the case of having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seemed high perception statistically.

6) The correlation's part of education was more meaningful among other factors statistically. The knowledge score of teachers who teach multiple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who teach hearing impairment(p=0.0149).

7) The correlation's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by analyzing factors were meaningful among other factors statistically in age, experience of the education and an intention of attending seminar. Teachers over 40s was on the higher score statistically than 20-29s(p=0.0045), and the cases of having educational experience(<.0001) and an intention of attending seminar (p=0.0001), seemed they were relatively optimistic.

In conclusion, knowledge of oral health was on a higher level than the perception for oral health education to teachers in special schools. That is why, it is possible to learn knowledge through several ways, mass communications, information by internet and education by oral medical adviser when visit dental clinic. It is the most effective that teacher teaches disabilities by the realities and the improvements of oral health education everyday. However shortage of understanding, knowledge and a speciality in oral health education was pointed out as a problem. Thus, for considering a counterplan, it is needful, education for a triangular posi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in school by oral medical adviser, effective education of oral health and effort by supporting interests and care.
Files in This Item:
T01056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