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1 601

Cited 0 times in

전이대장암의 Osteopontin 및 MMP-1 유전자의 발현 변화

Authors
 최준정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과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전이는 악성종양의 주요 특징으로서 각종 암의 예후와 관련된 가장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전이과정은 다단계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각 단계를 구성하고 조절하는 유전자적 변화와 유전자 산물의 변화 역시 매우 다양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구자들은 이전에 원발성 대장암과 전이 대장암 조직에서 19,000개 유전자의 human oligonucleotide microarray를 통하여 유전체 발현 양상을 검정하여 원발성 대장암과 전이 대장암 사이에 약 80 여개의 다르게 표현되는 유전자를 발굴한 바 있다. 밝혀진 80여 개의 유전자 중 많은 부분은 기존에 알려진 종양의 전이관련 행태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것들로, 세포 내외 기질의 합성과 분비, turn over 등에 관련되는 물질이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종양 생성과 전이 등에 관련이 있음이 타 종양에서도 발견되어 장기와 관련 없이 암종의 전이에 공통적으로 관여할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이의 임상적 의의를 고려해 보았을 때, 이들의 발현 및 조절 양상을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인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들 중 Osteopontin, MMP-1, serpin A1의 발현을 동일 환자에서 발생한 검증용 원발성 대장암과 전이 대장암 43세트를 대상으로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으며, 이들 중 Osteopontin과 MMP-1이 원발성 대장암과 전이 대장암에서 발현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Osteopontin과 MMP-1은 전이 대장암에서 발현이 차이가 나는 중요한 유전자로서 이의 임상적 응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Metastas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cancer in terms of its impact on the prognosis such as patient survival. However, understanding of the cellular and molecular mechanism of metastasis is still limited due to intrinsic complexity of mechanism governing whole process. Using high-throughput microarray using 19K spotted human oligonucleotides, gene expression of primary and matched metastatic colon cancer was compared in previous study. Although it did not demonstrate complete classification of primary and metastatic carcinoma, 80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have been identified. Among these, expression of Osteopontin, MMP-1 and serpin A1 have been assessed in 43 paired validation set of tissue microarray using immunohistochemistry. The expression of Osteopontin is significantly higher in metastatic carcinoma than primary carcinoma, as mRNA expression is. The expression of MMP-1 is significantly lower in metastatic carcinoma than primary. However, expression of serpin A1 is not correlated with the result from microarray. Thus, the expression of Osteopontin and MMP-1 successfully classify primary and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in the validation set and further studies on their clinical application should be followed accordingly.
Files in This Item:
T010541.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harmacology (약리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oi, Jun Jeong(최준정)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5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