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 578

Cited 0 times in

리모델링 전후 병원 근무자들의 건강자각증상 변화

Other Titles
 Subjective symptom change among hospital workers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uthors
 추철웅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산업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최근 노후화된 건물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건축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리모델링 건축물은 신축건물과 다를 바 없는 여러 건축 자재가 사용되고, 그에 따른 실내 환경오염이 사회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리모델링 전후의 실내 공기 중 유해물질의 농도를 파악하고, 재실 근로자의 자각증상을 파악하여, 리모델링을 실시함에 따라 증가하는 유해물질의 농도와 건강자각증상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리모델링 공사를 실시한 국내의 종합병원 내 3개부서의 리모델링 전후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였으며, 동일 장소에서 근무하는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리모델링 전후의 건강관련 자각증상을 조사,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리모델링 전 병실의 포름알데히드 평균 농도는 22.78 ± 9.76㎍/m3이었고, 리모델링 후 병실의 평균 농도는 42.91 ± 14.32㎍/m3이었다. 리모델링 전 외래 진료소의 포름알데히드 평균 농도는 26.77 ± 7.74㎍/m3이었고 리모델링 후 평균 농도는 43.68 ± 5.83㎍/m3이었다. 사무실의 리모델링 전 평균 농도는 28.58 ± 9.21㎍/m3이었으며, 리모델링 후 평균 농도는 57.81 ± 19.09㎍/m3이었다. 세 부서의 리모델링 전 평균 농도는 25.84 ± 8.77㎍/m3이었고, 리모델링 후 평균 농도는 47.27 ± 6.72㎍/m3이었다. 포름알데히드를 제외한 Acetone, n-Hexane, c-Hexane, cyclohexene, Heptane, methyl- cyclohexane, Toluene, Octane, p,m-Xylene, styrene, o-Xylene 등은 리모델링 전후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총 13개의 리모델링 전후의 근로자 건강자각 증상을 비교, 분석하였을 때, ‘눈 건조’, ‘눈 충혈’, ‘눈이 따갑거나 가려움’, ‘현기증’, ‘목 건조’, ‘피부 건조’, ‘붉은 반점’, ‘집중 안 됨’등의 8개 항목에서 리모델링 후 자각 증상을 느끼는 근로자가 증가하였다.

리모델링 후 포름알데히드 농도와 자각 증상의 발생이 동시에 증가하였으나 타 연구에서 보고된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자각 증상이 나타나는 농도보다 리모델링 후 측정된 농도가 낮았기 때문에 포름알데히드 농도 증가와 자각 증상의 증가의 관련성을 평가하기 어렵다.

그러나 리모델링 후 근로자들의 자각증상이 증가한 것이 사실이므로 근로자들에 대한 적절한 건강 평가나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formaldehyde are major hazardous substance causing various health effects in new or remodeled building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lf-reported symptom change among hospital workers before and after hospital remodeling.

First of all, the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formaldehyde were measured in three departments of a general hospital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o 26 workers who had been working at the remodeling sites before and after remodeling.

Th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were 22.78 ± 9.76㎍/m3 and 30.84 ± 14.32㎍/m3 in the inpatient ward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nd the concentrations were 26.77 ± 7.74㎍/m3, 43.68 ± 5.83㎍/m3 and 28.58 ± 9.21㎍/m3, 57.81 ± 19.09㎍/m3 in the outpatient clinic and the office respectively. Finally,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show 25.84 ± 8.77㎍/m3 and 44.11 ± 6.72㎍/m3 before and after remodeling.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number of the workers having the subjective symptoms after remodeling was increasing in eight items, 'eye dryness', 'bloodshot eyes', 'smart or itchy eyes', 'vertigo', 'throat dryness', 'skin dryness', ‘red spot’, ‘lack of concentration’.

Although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was increased with symptoms after remodeling, it is necessary to study addition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ing simultaneously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and the subjective symptoms because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in this study is much lower than the concentration which was known to cause the subjective symptoms in other studies.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72866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34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