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7 432

Cited 0 times in

혈중 아디포넥틴과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에 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Adiponectin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 a meta-analysis 
Authors
 이현주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와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 및 사망위험도에 대한 기존에 출판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메타분석을 통하여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MEDLINE을 통한 총 21편의 관찰연구를 대상으로, 각 연구에서 혈중 아디포넥틴의 낮은 군과 높은 군 간의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 및 사망위험도를 병합하였고, 통합유효크기는 동질성 검정 결과에 따라 확률 효과 모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논문 21편의 메타분석 결과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 및 사망위험도는 8% 감소하였다. (Summary OR=0.92, 95% CI=0.79-1.06)

둘째, 연구의 결과에 따라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와 사망위험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경우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가 23% 감소되었으며(Summary OR=0.77, 95% CI=0.65-0.91),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의 사망위험도 1.39배 증가되었다(Summary OR=1.39, 95% CI=1.02-1.91).

셋째, 연구의 대상자를 일반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경우 혈중 아디포넥틴이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 및 사망위험도가 8% 감소되었으며(Summary OR=0.92, 95% CI=0.73-1.17), 환자집단에 따른 분석에서 심혈관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 4% (Summary OR=1.04, 95% CI=0.70-1.54) 증가하였으며, 반면 신장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 14% (Summary OR=0.86, 95% CI=0.67-1.10),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 55% 감소하였다.(Summary OR=0.45, 95% CI=0.28-0.71).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논문에서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의 발생 및 사망위험도의 예방효과가 높았다.

넷째, 코호트 연구만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혈중 아디포넥틴이 증가함에 따라 심혈관질환 발생위험도가 0.99배 (95% CI=0.85-1.17)증가하였으며, 특히 가장 높은 증가를 보이는 심혈관질환의 사망위험도는 Odds ratio가 1.39배 (95% CI=1.02-1.91)로 역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 결과에 따른 차이는 심혈관질환 사망위험도의 연구는 모두 코호트 연구인 것으로 밝혀졌다. 추가적인 분석으로 코호트 연구 중 심혈관질환 사망위험도인 경우를 제외한 심혈관질환 발생위험도에 대한 Odds ratio은 0.82배 (95% CI=0.66-1.01)이었다.

결론적으로 혈중 아디포넥틴의 농도가 높을수록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에 대해 감소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연구대상자와 연구 디자인에 따라 역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어 향후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져야 하며, 이러한 관찰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의 방법론적 한계와 이 연구에서의 출판 편견의 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이러한 결과는 조심스럽게 해석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CVD incidence risk and CVD mortality risk with the density of plasma adiponectin via META analysis. Primary data and literature review materials was retrieved from the literature published in Medline. 21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incidence and mortality risk of CVD according to plasma adiponectin concentra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were shown by common Relative risk(RR), Hazard ratio(HR), odds ratio(OR) and averag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Before the integration of each effect sizes into common effect sizes, heterogeneity tests and sensitivity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estimation of common effect sizes.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lasma adiponectin concentration had l 0.92 %( 95% confidence interval [CI] 0.79 to 1.06) lower levels in CVD incidence risk than in CVD mortality risk

2. Based on the analysis OR of plasma adiponectin concentration, it has 0.77(95% CI: 0.65 to 0.91) lesser in CVD incidence risk than in CVD mortality risk and OR of plasma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1.39(95% CI: 1.02 to 1.91) higher in CVD mortality risk.

3. Regarding subgroup analysis for the general population, OR of plasm adiponectin concentration was 0.92(95% CI: 0.73 to 1.17) lower in CVD incidence risk than in CVD mortality risk and for CVD patient's OR was higher 1.04(95% CI: 0.71 to 1.54) higher. Diabetes mellitus patient's OR was 0.45(95% CI: 0.28 to 0.71) lower and kidney disease patient's OR was 0.86(95% CI: 0.67 to 1.10) lower. The OR of Diabetes mellitus patient in relation to CVD risk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patients.

4. Regarding subgroup analysis for cohort study, plasm adiponectin concentration had higher than 0.99 in CVD incidence risk and OR of CVD incidence risk was 0.82 except in the case of cardiovascular disease death risk.

In conclusion, the increasing plasma adiponectin lead to lower a risk CVD incidence but further studies is required to prove this association. The limitation of the methodology of meta analysis and possibility of publication bias by this study should be considered.
Files in This Item:
T01048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9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