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5 500

Cited 0 times in

모바일 통신 기반 비만관리 시스템의 개발 및 평가

Other Titles
 (A) development and valuation for obesity control program through the Mobile telecommunications platform 
Authors
 이원복 
Issue Date
2008
Description
보건정보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모바일 통신을 기반으로 핸드폰에서 구동되는 비만관리 프로그램과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서울 소재 비만 클리닉의 고객을 대상으로 6주간 사용하도록 한 후 유용성과 효과를 평가한 것이다.

비만관리 프로그램은 스마트 다이어트라고 명명하였으며, 비만관리를 위한 정보를 OX퀴즈형태로 제공하는 다이어트 게임(diet game)과 일상 활동 중에 섭취 및 소비하는 칼로리를 바로 입력할 수 있는 다이어트 플래너(diet planner), 그리고 사용자 관리를 위한 사용자 관리(user mode) 메뉴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에서 입력된 정보는 모바일 통신기능을 통해 별도로 운영하는 서버로 최소 일일 단위로 전송되도록 구성하였다.

비만 클리닉 고객 총 48명중 24명의 실험군에게는 핸드폰에서 구현되는 스마트다이어트라는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대조군 24명에게는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았다. 6주후 설문조사와 실험 전후의 체성분 검사결과를 중심으로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 클리닉의 특성상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중 감량 효과는 두 군 모두에서 발생하였으며, 스마트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운영한 실험군에서의 감량 평균이 대조군과 큰 차이는 없었다. 이는 실험군들이 모바일 프로그램을 설치 후 지속적으로 프로그램을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교육 및 안내과정이 부족했던 데에 원인이 있다.

생활습관에 따라 감량의 효과는 차이가 있었으며 생활습관이 긍정적인 사람들의 감량효과가 높았다. 그러나 실험군 내에서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사용빈도가 높은 피험자가 보다 높은 감량 효과를 보여 비만관리 프로그램의 사용은 감량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비록 체중 감량에 있어 스마트 다이어트 프로그램을 사용한 실험군의 효과가 대조군보다 높지는 않았으나, 이는 운영상의 원인에 기인한 것이 크고, 사용한 사람들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휴대할 수 있는 비만관리 도구에 대한 호응도가 높았던 것을 볼 때 나름대로의 의의가 있었던 연구로 판단된다.

향후 시스템의 완성도를 향상시키고, 관리기능을 추가하면 더욱 효과적인 비만관리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온 오프라인이 상호 연계되는 새로운 도구로서 그 가치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Overweight adults are at higher risk for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and high cholesterol, as well as psychological problems. According to response to this epidemic, a Mobile-based, activity-contingent game for obese adults was observ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Mobile-based nutrition education game for adults who are obese with the visit frequently the clinics during 6 weeks.

The game promotes physical activity and dietary treatment through the use of cell phone game that was named by Smart-Diet. The constructed of Smart-Diet was indexed by true-false quiz game, diet planner, and user mode. The true-false quiz was the information offered, diet planner showed daily caloric intake, and user mode was administration function. The input data of Smart-Diet were transmitted the database serve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t daily routine.

The conducted a clinical trial in which obese adults was randomized to groups that either played the game (Control Group - 24 obese adults) or that monitored only (Intervention Group - 13 obese adults). This study measured weight, fat cell rate, Body Mass Index (BMI), and research questionnaire items (included general, behavior, etc) at starting point and after 6 weeks later. The control and intervention group was analyzed by statistic program by SAS 9.0.1.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 was decreased tendency in general weight, BMI and fat cell rate. The research questionnaires items result were interested in behavior.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high rate decreased weight effect by frequency in use of cell phone game.

This study showed that activity-contingent games, likely to Smart-Diet, may have the potential to facilitate increased physical activity and information offered in obese adults. However, more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Files in This Item:
T01046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7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