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2 494

Cited 0 times in

정상인의 좌, 우 비강을 통한 후각 차이

Other Titles
 Olfactory difference between the left & the right nostril in healthy subjects 
Authors
 이소윤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인류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후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파킨슨병, 알쯔하이머병 같은 퇴행성 병의 조기 진단 시에도 후각 검사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다. 지난 20년간 여러 후각 검사 방법들이 각 국가별로 개발되었으나 이중 소수만이 후각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고 판단되었다. 대부분 임상에서 시행되는 후각 검사는 양측 비강을 통해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이 보통이며, 좌, 우측 비강 사이에 후각 차이가 있을 가능성을 배제하여 왔었다.

최근 들어 소수의 연구들에서 정상인에서의 좌, 우 비강의 후각 차이에 대해 발표하고 있으며 그 결과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질병이 없는 경우라도 각각의 비강을 통한 후각에 차이가 있는 경우, 향후 후각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좌, 우 비강의 후각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그 연구 방법론에서 양측을 각각 구분하여 진행 하여야 하며, 그 차이가 없을 경우 양측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연구를 진행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정상인에서 좌, 우측 비강을 통한 후각 사이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연구한 자료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정상인에서 좌, 우측 비강을 통한 후각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7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세브란스 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입원치료 중이거나 외래에 내원한 사람들 중 코와 관련된 증상 및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문진, 이학적 검사 및 비 내시경 검사, 음향통기도 검사(Acoustic Rhinometry), 부비동 단순 방사선 촬영 시행 후, 정상인을 대상으로 KVSS (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s)검사와 T & T olfactometer (Developed by Takagi and Toyota in 1975) 검사를 이용하여 좌, 우 각 비강을 통한 후각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았고 또한 양측 비강을 통한 후각과 편측 비강을 통한 후각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후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로 연령, 성별, 여성의 생리 기간 및 우세 수지와의 연관성도 살펴보았다.

총 83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좌, 우측 각각에서보다 양측 비강을 통한 후각 검사 시 보다 우수한 후각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검사에서 우측 비강을 통한 검사가 좌측 비강을 통한 검사보다 더 우수한 후각을 나타내었다.

젊은 연령에 비해 고령에서는 KVSS와 T & T 검사 모두에서 좌, 우 비강을 통한 후각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측 비강의 후각이 우수하였다. 성별에 따른 좌, 우 비강 사이의 후각 차이는 없었으며, 폐경기나 비폐경기 여성에서 공히 우측 비강의 후각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으며, 생리 기간에 따른 좌, 우 비강의 후각 차이는 없었다. 우세 수지 별로 비교한 결과, 대부분에서 우측 비강을 통한 후각이 좌측보다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우세 수지 방향과 통계학적 연관성은 없었다. 후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 요인 별 후각을 비교한 결과 연령이 높은 사람들에서 후각은 모든 검사에서 감소하였고, 성별, 주로 사용하는 손(우세 수지)에 따른 후각의 차이는 없었다. 비폐경 여성에서는 생리 후 기간에 따라 생리기, 배란기, 자궁기의 세기간으로 나누어 각 생리 기간별 후각을 비교하였고, 대부분에서 배란기에 우수한 후각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적은 대상 수이지만, 폐경 여성과 같은 연령의 비폐경 여성 사이에 후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차이는 없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비과적 질환이 없는 정상인에서도 생리적으로 좌,우측 비강을 통한 후각에 차이가 있으며 좌측에 비해 우측 비강을 통한 후각이 더 우수하며, 양측 비강으로 평가 시 각각의 비강을 통한 검사보다 더 우수한 후각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향후 후각의 평가는 편측의 후각 장애 유무를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후각과 관련된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서는 특히, 보다 정확한 연구 및 진단을 위해 생리적으로도 좌, 우측 비강을 통한 후각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각각의 비강을 통해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영문]

Olfactory testing is typically performed in a birhinal setting. Birhinal testing of odor identification will not allow the detection of unilateral olfactory loss and could be incorrect testing. Lateralized difference (olfactory difference between each nostril) in odor perception has been described in a few articles.

The aim of the presented study was to evaluate olfactory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nostril in healthy subjects and in addition to figure out if olfaction is affected by a few factors such as age, sex, menstrual cycle in women, and dominant hand.

In 83 subjects (52 women, 31 men), we performed an olfactory testing separately for each nostril. All participants rated their olfactory sensitivity as 5 different scales before testing.

A Korean Version of Sniffin’ Sticks (KVSS) test which was developed in Korea based on sniffin’ stick test was utilized to evaluate olfactory function separately for each nostril. We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used for the other future studies, so T & T olfactometer was also performed as the same manner.

A general olfactory difference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nostril was found in both KVSS and T & T olfactometer. Olfaction through the right nostril was superior to the left side. Birhinal testing reflected better olfactory function than each nostril testing.

Aging was associated with a decline in olfactory sensation in all tests.

In women, many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sex hormone would be the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o affect olfaction but we just could see the tendency. Olfaction was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menstrual cycle even though better olfaction in ovulate phase - high estrogen, low progesterone phase. There was no olfactory difference between in menopausal and non-menopausal women. It was probably lack of the subjects.

A KVSS test was suitable for Korean and the result from a KVSS test was not different from T & T test. But more simple & correct olfactory test will be needed for lateralized olfactory screening.

A side difference in olfaction can only be detected with lateralized testing. In our opinion, for most of the clinical and medico legal issues, lateralized olfactory testing is preferable.

Lateralized olfactory testing is necessary to detect patients with olfactory dysfunction.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investigate how sex hormone is related to olfactory function in women.
Files in This Item:
T010457.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So Yoon(이소윤)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6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