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4 684

Cited 0 times in

중년 여성의 비만유무에 따른 영양학적 요인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 :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factors and dyslipidemia by Obesity : 2005 KNHANES III 
Authors
 윤자원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건강증진교육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년 여성의 비만유무에 따라 영양학적 요인과 이상지질혈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이상지질혈증 예방 기초자료와 영양학적 관리에 중요한 정보가 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 3기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의 40-64세의 중년 5,961명의 여성 중 고지혈증, 뇌졸증, 심혈관 질환에 해당하는 대상자를 제외한 1193명으로 분석하였다.

SAS(Statistical Analysis System 9.1)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여 연속형 변수들에 대해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이상지질혈증에 해당하는 TC, TG, HDL, LDL은 정상군과 이상군 두 군간의 영양학적 변수들의 평균차이로 T-검정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각의 독립 변수들에 대해서는 Chi-square test와 최종 결과에서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여 정정 교차비(adjusted odds ratio)를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 요인들 중 비만하지 않은 집단과 비만한 집단, 두 집단 모두에서 1일 지방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두 집단을 비교시 비만하지 않은 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높은 연령과 흡연 및 음주, 낮은 교육 수준과 월 가구 소득, 과다한 일상생활 활동수준과 수면, 낮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와 스트레스였다.

영양학적 요인에 따른 이상지질혈증의 상태를 살펴보면 비만하지 않은 집단에서 TC(Total Cholesterol)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1일 섭취 지방섭취량, HDL(HDL-Cholesterol)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1일 탄수화물 섭취량, LDL(LDL-Cholesterol)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1일 지방섭취량이였다.

비만집단에서는 HDL(HDL-Cholesterol)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1일 에너지 섭취량과 1일 탄수화물 섭취량이였으며, LDL(LDL-Cholesterol)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1일 단백질 섭취량과 1일 탄수화물 섭취량이였다. 그러나 비만집단에서의 영양학적 요인과 이상지질상태와의 관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여 정정 교차비(adjusted odds ratio)를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이상지질혈증과 요인변수들간의 관련성의 최종 결과에서, TC(Total Cholester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만하지 않은 집단에서 연령이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반면, 비만집단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요인은 없었다.

TG(Triglyceride)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만하지 않은 집단에서 연령이 통계적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비만집단에서는 TG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다.

HDL(HDL-Cholester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비만하지 않은 집단에서 수면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비만한 집단에서는 1일 영양섭취량에 있어 지방섭취량이 유의한 경향을 보였으며, 음주가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LDL(LDL-Cholester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비만하지 않은 집단에서 연령이 통계적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며, 비만집단에서 월가구 소득이 유의성을 보였다.





[영문]

Purposes: Currently, obese people exceed 30% of the whole population in Korea. Obesity may be risky enough to progress to the second type of diabetes, cerebral cardiac diseases, cancers and dyslipidemia and other various complications and chronic diseases, and it is also closely correlated with the top 5 causes for death in Korea.

Among the circulatory diseases included in the top 5 death causes such as cerebral blood vessel disease, cardiac diseases and diabetes, the dyslipidemia accounts for 18% of the cerebral blood vessel diseases and 56% of the ischemic heart failure, according to the report of WHO, while the affliction of dyslipidemia increases.

The ratio of the low fat intake in overnutrition or one of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yslipidemia most has been confirmed by preceding stud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factors and dyslipidemia by obesity in korean middle age women.

Methods: Means and SDs were calculated for demographic variables and continuous variables and each independent variable was subject to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the final results were subject to the logistic regression.

All the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the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9.1 program package.

Results: In the non-obese group, the variable affecting TC and TG significantly was age, while no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m was found in the obese group. In the non-obese group, the variables affecting the HDL significantly were sleeping hours, while in the obese group, the variables affecting the HDL significantly were daily fat intake and drinking. The common variables affecting the HDL in both groups was monthly income.

Summing up,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income level were make up increase of the obesity. the variables affecting the dyslipidemia, in the non-obese group were sleeping hours, while in the obese group were income level, daily fat intake.

Conclusions: We could found that obesity was closely related with dyslipidemia and metabolic symptoms. especially, middle age women with lower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tended more to be obese. This finding corresponds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Since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study, the results of nutritional survey were not sufficiently proven to be related with dyslipidemia and obesity. moreover, obese people tended to exercise more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psysical activity betrayed the expectation. future studies might be needed to more effective treatment and survey with consideration of such problems.
Files in This Item:
T01044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25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