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9 831

Cited 0 times in

상악 제2대구치 발치 후 제3대구치의 시간에 따른 변화 양상과 교합 상태 평가

Other Titles
 Time-related changes of maxillary 3rd molar and its occlusal condition after maxillary 2nd molar extraction 
Authors
 김인실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상악 제2대구치 발치는 다양한 이유로 시행되고 있으며, 하악 제2대구치 발치보다 높은 성공률을 보이면서 맹출한 상악 제3대구치의 교합 상태도 대부분 만족할 만하다고 언급되고 있다. 하지만 정확한 교합의 평가를 위한 치아 석고 모형을 이용한 연구는 드물며, 상악 제2대구치 발치 후 상악 제3대구치의 맹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는 연구마다 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아 석고 모형을 이용하여 맹출한 상악 제3대구치의 교합을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상악 제2대구치를 발치한 128개의 표본을 연구 대상으로 맹출의 성공률을 확인하고, 맹출한 제3대구치의 교합 상태를 치아 석고 모형에서 평가하였다. 초기 발육 단계와 맹출에 걸리는 시간을 알아보았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3대구치의 맹출 양상의 변화를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1년 단위로 계측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성공적인 맹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분석을 위해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초기 발육단계 (Nolla stage),초기 각도,수직,수평 위치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에서 상악 제1대구치의 위치 변화가 교합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제2대구치 발치 후 제3대구치의 맹출 성공률은 99.2%였으며, 66.1%에

서 만족할 만한 교합상태를 나타내었다.

2. 상악 제2대구치 발치 후 제3대구치의 맹출이 완료 되는데 소요된 시간은 평

균 4.5±1.8년이었다.

3. 상악 제2대구치 발치 시 제3대구치의 발육 단계가 Nolla stage 8을 지난 경

우 맹출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감소하였으나, 최종적인 교합상태는 좋지 못

하였다.

4. 상악 제3대구치의 맹출 각도 변화는 상악 제3대구치의 장축과 교합평면에 수

직인 선이 이루는 초기 각도에 따라 다른 변화 양상을 보여 초기 각도가 15˚

보다 큰 경우는 각도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15˚보다 작은 경우는 각도가 증가

하는 방향으로 변하였다.

5. PTm에서 상악 제1대구치 사이의 거리와 제3대구치의 초기 발육단계 (Nolla

stage)는 최종적인 교합에 영향을 주었으며, 상악 제3대구치의 초기 각도와

수직,수평 위치는 최종적인 교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상악 제2대구치 발치 후 66.1%에서 상악 제3대구치가 만족할 만한 교합 상태를 나타내어 맹출한 상악 제3대구치에 부가적인 교정력의 적용이 필요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영문]

Orthodontic treatment often requires the removal of permanent teeth. The extraction of maxillary 2nd molars have been presented in numerous publications which described most of maxillary 3rd molars erupted into excellent or acceptable positions. But the quality of the final position of maxillary 3rd molars after maxillary 2nd molar extraction remains an issue of contention. This study evaluates occlusal condition with study models and eruption changes of maxillary 3rd molars after maxillary 2nd molar extraction with x-rays.

An evaluation of panoramic radiographs, lateral cephalographs and study models of 80 patients that were treated at Yonsei University Yongdong Severance Dental Hospital was done. Radiographs were used to evaluate positional changes of maxillary 3rd molars after maxillary 2nd molar extraction. Study models were used to compare the size of molars and to assess the final position of maxillary 3rd molar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1. There was a 99.2% success rate of maxillary 3rd molar eruption after the extraction of maxillary 2nd molars. 66.1% resulted in acceptable occlusion.

2. The average eruption time was 4.5±1.8 years for maxillary 3rd molars after maxillary 2nd molar extraction.

3. Maxillary 3rd molars in Nolla developmental stage of 8 or higher took less time to erupt however, the final occlusal position was less ideal.

4. There were variations of maxillary 3rd molar eruption angulation according to its initial angulation (Angulation between long axis of maxillary 3rd molar and perpendicular line to occlusal plane). When initial angulation was 15° or higher, its angulation decreased and it was the opposite for 15° or less.

5. The distance from PTm to maxillary 1st molars and developmental stage had influence on final occlusion but the initial angulation, vertical and horizontal position of maxillary 3rd molar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final occlusion.

Most maxillary 3rd molars erupt after maxillary 2nd molar extraction, however 33.9% did not show good occlusion. Therefore, maxillary 3rd molar position may need adjustment after maxillary 2nd molar extraction.
Files in This Item:
T01036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6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