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89 368

Cited 0 times in

원시를 동반한 외사시 환자의 임상양상 및 굴절교정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Clinical analysis of exotropic patients with hyperopia and the effect of spectacle correction 
Authors
 김인식 
Department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목적: 원시를 동반한 외사시 환자의 임상양상과 굴절 교정 후 외사시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7년 2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본원에서 원시를 동반한 외사시로 진단받고 굴절교정을 받았으며 6개월 이상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원시교정 전후의 사시각 및 시력변화, 굴절이상 정도, 약시 여부, 부등시 여부, 수술시기, 수술결과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사시 수술은 단일 술자에 의해 양안 외직근후전술 또는 단안내직근 전진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사시각의 변화, 수술결과를 술 후 3개월이상 추적관찰 한 후에 조사하여 원시굴절교정 정도가 수술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결과: 30명의 평균 굴절이상은 +2.58±1.25 디옵터(sph +2.00 ~ +5.50, cyl +1.50 ~ +4.00) 이었고 처방된 안경의 평균 굴절 이상은 +2.03±1.13 디옵터였다. 모든 환자에서 안경처방 후 시력표 상 약 3줄의 시력호전이 있었다. Gradient method로 측정한 조절눈모음비는 평균 2.26±2.61 /D(정상: 3~5 /D)였으며, 16명에서는 낮았고(평균 0.47±1.01 /D), 5명은 정상이었으며(평균 4.02±0.52 /D), 5명은 높았다(평균 6.24±1.39 /D). 원시교정 후 외사시는 초진 시 원거리 사시각 23.03±7.88PD, 근거리 사시각 24.13±8.56PD와 비교하여 최종 원거리 사시각 23.66±8.62PD, 근거리 사시각 25.21±10.19PD로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약시치료를 받은 10명의 환자들에서는 약시가 없던 군과 비교하여 원시 교정 후 편위각이 유의하게 작아졌으며 두 군간의 차이는 4~7PD 정도였다(p=0.017). 17명에서 사시수술을 시행하였고, 13명에서 술 후 3개월 이후에 10PD이내의 사시각을 얻어 76.5%의 성공률을 보였다. 만족할 만한 수술결과를 얻지 못한 4명 중 3명은 낮은 조절눈모음비를 가지고 있었다.

결론: 원시를 동반한 외사시에서는 낮은 조절눈모음비를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며, 원시교정을 시행하여도 외사시편위각이 의미있는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다.





[영문]

Purpose: To study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xotropic patients with hyperopia and evaluate the effect of spectacle correction in such patients.

Methods: A total of 30 exotropic patients with hyperopia who underwent spectacle correction for at least 6 months from Feb 1997 to Feb 2007 were retrospectively studied. The changes in angle of deviation, visual acuity, treatment of amblyopia, presence of anisometropia, timing of surgery,and surgical outcome were analyzed. Bilateral medial rectus muscle recession or unilateral medial rectus advance surgery was performed by a single surgeon. The results of surgery were evaluated 3 months after surgery to assess the effect of hyperopia correction on surgical outcome.

Results: The mean refractive error was +2.58±1.25D (sph+2.00 ~+5.50, cyl+1.50~+4.00). The mean spectacle prescription was +2.03±1.13D. All patients showed about 3 line improvement in visual acuity after spectacle correction. Mean AC/A ratio determined by gradient method was 2.26±2.61 /D(normal range: 3~5 /D). AC/A ratio was low in 16(mean 0.47±1.01 /D) patients, normal in 5 patients(mean 4.02±0.52 /D), and high in 5 patients (mean 6.24±1.39 /D). The initial angle of deviation which were 23.03±7.88PD at distance and 24.13±8.56PD at nea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final angle of deviation which were 23.66±8.62PD at distance and 25.21±10.19PD at near. Angle of deviation decreased by 4~7PD in patients who also received amblyopia therapy(p=0.017). 17 patients underwent surgery, 13 of who achieved exotropia under 10PD(success rate: 76.5%). 3 of the 4 patients whose surgical outcome were not satisfactory had low AC/A ratio.

Conclusions: Many exotropic patients with hyperopia had low AC/A ratio. Spectacle correction did not cause significant change in angle of deviation.
Files in This Item:
T01035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In Sik(김인식)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6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