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4 510

Cited 0 times in

장애인 강사에 의한 장애예방 교육을 받은 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

Other Titles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ceived the disability prevention education from the disabled 
Authors
 김은수 
Issue Date
2008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장애 발생 원인 중 후천적 원인에 의한 장애인이 전체 등록 장애인의 90%를 차지하며, 그 중에서도 사고로 인한 후천적 장애가 예방을 통ㅇ한 장애비용 절감 효과가 가장 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우리나라에는 체계적인 장애예방 체계가 없는 실정이다. 장애예방을 위해서는 교육, 환경개선, 법제화 등 다양한 전략이 동원되어야 한다. 국립재활원 장애예방실에서 개발한 "휠체어 장애인과 함께 하는 장애예방 교육"은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사고로 인한 뇌와 척수 손상 예방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휠체어 장애인 강사가 직접 교육하는 사고로 인한 장애예방 교육을 받은 초등학생들이 습 듣한 지식을 행동으로 옮기기까지 경험하는 심리적인 변화 과정을 파악하여 교육 방법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한 질적연구이다. 2007년도 3월부터 12월까지 장애예방 교육을 실시하였고, 학생들에게 교육에 대한 소감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각 학교의 특수교사를 통하여 선별된 우수한 소감문 총 65편이 수집되었고,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이용해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 5개 영역에 걸쳐 32개의 중심의미가 파악되었다.

사고로 인한 장애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교육 전에 '설마 나는 아니겠지', 교육 후에 '나도 장애인이 될 수 있다', 안전의 중요성이 중심의미로 확인되었다. 장애예방 행동 실천 영역에서는 효능에 대한 신념, 자기효능감, 실천의도, 실천기술이 중심의미로 확인되었다. 강사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동일시, 감정적 동조, 감사, 안타까움, 존경, 실감, 호기심이 중심의미로 확인되었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 영역에서는 교육 전에는 차이와 차별, 몰이해, 부정적 이미지, 낯설음, 방관, 동정, 교육 후에는 이해, 평등, 배려, 존경, 차별에 대한 후회가 중심의미로 확인되었다. 기타 영역에서는 교육에 대한 권유, 깨달음, 놀라움, 타인의 기대, 두려움, 장애예방 의도, 재미가 중심의미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32개 중심의미를 종합하여 장애예방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교육을 통해 겪게 되는 심리적인 변화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장애인 강사에 대한 호기심과 동질감을 바탕으로 강사들이 경험한 장애를 간접체험하게 되고, 비로소 사고로 인한 장애를 자신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로 받아들이게 되었다. 장애의 심각성을 깨닫고 자신이 장애인이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진 상태에서 장애가 호발하는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 그러한 장애를 예방할 수 있는 5가지 수칙을 설명하여 실천기술을 알려줌으로서 장애예방 행동에 대한 효능신념, 자기효능감, 실천의도가 형성되었다. 또한 장애인 강사를 통해 이전에 장애인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부정적인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학생들은 자신이 깨달은 장애예방의 중요성과 장애인 차별 금지 메세지를 자신의 친구들과 가족들에게 알리고 싶어하였고, 이 교육이 확산되기를 희망하였다.

이상에서 확인된 장애예방 교육의 효과를 장애인 강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장애예방 실천의도를 고취시키고,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피교육생들의 소감문에서 추출된 심리적 요소들의 관계는 계획된 행동 이론으로 잘 설명되었다.

앞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할 때에는 일회성 교육을 연속적인 교육 과정으로 발전시켜서 다양한 형태의 강의와 체험을 제공함으로서 학생 스스로 장애예방 실천의지를 다지고, 장애인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유치원, 초등학교, 중 고등학교, 성인 등 각 시기에 맞는 장애예방 교육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강사를 양성해서 전국적으로 교육을 실시하게 된다면, 우리나라 국민들의 안전 의식을 향상시키고 장애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영문]

The present study was a qualitataive study to explore the attitude and belief changes on injury prevention and siability among elementary children after a diablilty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by the Spinal Cord Injuried lectures. The education program was operated from March to December, 2007. For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65 essays by the students on the program after the education. The data were categorized in 5 groups with 32 central meanings,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In the category of the attitude on the possibility of disability from an injurym children's attitude was changed to higher and real possibility of disability from the injury after the education. The importance of safety after the education was recognized as a central meaning. In the category of the disability prevention, the concepts on competency, self efficacy, behavioral intention, and action skills were recognized as the central meanings. In the category of the attitude on the lecture, the concepts such as coneness with self, emotional sympathy, appreciation heartbreaking, respect, sense of reality, and curiosity were recognized as the central meanings. In the category of the attitude on the disabled, the negative concepts like difference, discrimination, lack of understanding, negative image, unfamiliarity, onlooking, and pity before the education were changed to the positive concepts such as understanding, equality, concern, respect, and regret for the discrimincation after the education.

In the category of recommendation about the education, comprehension, astonishment, children expressed in terms of other's expectation, fright, intention to the disability prevention, and fun as the central meanings.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the students through the disability prevention education recognized from above 32 central meaning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experienced the disability indirectly, expressed the curiosity and identified with the disabled lectures. They perceived the disability as a fact that could happen to them after the education.

Through the education, the changes in efficacy belief, self efficacy and behavioral intention were made. And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the disabled changed into the positive attitudes by the disabled lectures.

It was clear that the education program by the disabled lectures had positive impact on children. A series of education programs by using variety methods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disability prevention and for the positive perception toward the disabled. The program should also be expanded for the children in kindergarten,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and adult.
Files in This Item:
T01035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6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