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24 893

Cited 0 times in

암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환자들의 피험자 동의서에 관한 인식조사

Other Titles
 (A) survey of the cognition on informed consent in clinical trials with patients who participating to cancer clinical trials 
Authors
 김양희 
Issue Date
2008
Description
국제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연구자는 피험자가 임상시험에 등록되기 전에 임상시험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제공하고 피험자가 자발적으로 시험참여를 결정하였다는 피험자 동의서를 취득해야 한다. 피험자동의는 임상시험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피험자동의과정 및 그 결과가 얼마나 윤리적이며 체계적으로 진행되었는지에 따라 임상시험의 질이 판가름 나게 된다. 국외에서는 피험자동의서와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매우 저조하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할 때,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인식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는 암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피험자 동의서에 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에서 피험자 동의 취득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하기 위한 서술적인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설문에 참여한 암 임상연구에 참여중인 환자 80명과 이들의 임상연구를 직접 담당하는 의료진 64명으로, 서울시내 임상시험센터를 소지한 4개 종합병원에서 치료중인 환자와 이곳에서 근무하는 의사, 연구 간호사 또는 연구코디네이터, 전문 간호사 들이다. 1차 자료수집은 2008년 4월 5일부터 4월 25일까지 이루어졌고, 2차 자료수집은 2008년 4월 28일부터 5월 28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AS 8.2를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모든 문항에 대해 빈도와 백분율, 상관관계를 구하였으며, 특정 변수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객관적ㆍ주관적 인식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인 환자는 총 80명으로 남자 44명, 여자 36명이었으며, 연령은 40세 이상의 중년층이 87.5%로 분포가 가장 많았다. 교육정도는 고졸이 46.3%로 가장 많았으며, 대졸 또는 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은 전체 응답자의 31.3%였다. 임상연구 참여 경험에 대해서는 79.5%가 경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제공자인 의료진은 총 64명으로 응답자의 78.2%가 연구 간호사였고, 21.9%가 연구자였다. 이들의 임상연구 경력은 59.4%가 2년 미만의 임상연구 경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전 임상연구 참여 경험은 전체의 95.3%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환자가 참여하고 있는 임상연구 관련 특성 중 피험자동의서를 작성할 당시의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ECOG status)은 1점인 경우가 57.5%로 가장 높았고, 진단받은 암질환의 종류는 소화기암이 38.8%로 가장 높았으며, 환자가 임상시험 참여 당시에 진단받은 병기는 Stage Ⅳ인 경우가 57.5%로 질환의 중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연구의 종류는 3상 연구가 56.3%, 2상 연구가 43.8% 이고, 2개 이상의 치료군을 비교하는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경우가 63.8%였다. 무작위배정 여부에 대해서는 62.5%가 무작위배정을 하는 연구에 참여중이며, 31.3%가 맹검 임상연구에 참여하고 있었다.

셋째, 피험자동의서 취득 과정에 대한 특성 중 동의서를 취득하기 까지 소요된 시간은 전체의 93.6%가 1시간미만으로 응답하였고, 83.3%가 동의서를 취득할 때 함께 설명을 들었다고 응답하였다. 동의서를 설명한 사람은 83.3%가 담당 연구 간호사였고, 또한 전체 응답자의 66.2%가 사전에 추가 정보를 얻었으며 의료진에 의해 추가 정보를 받은 경우가 48.1%로 가장 많았다. 동의서 취득 시점은 4주~8주 미만이 28.8%로 가장 많았다.

넷째, 피험자 동의서에 대한 환자의 객관적 인식도는 전반적으로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구목적에 대해서는 비교적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환자들은 자신이 참여하는 임상연구의 모든 치료법과 시술법이 자신과 동일한 암에 적합한 표준치료법인 것으로 알고 있으며(KS=28.1), 또한 가장 좋은 방법으로 검증된 치료방법이라고 믿고 있었다(KS=33.8). 그리고 표준치료법과 비교했을 때, 어떠한 추가적인 위험이나 불편감을 초래하지 않는다고 알고 있었다(KS=43.8).

다섯째, 5가지의 문항을 선별하여 환자와 의료진 간의 인식도의 차이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임상연구의 주요 목적에 대해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임상연구에서 시행되는 검사 및 치료 중에서 아직 검증되지 않은 시술 또는 치료가 있다는 사실과 자신이 참여하는 임상연구에서 시행되는 모든 치료법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검증된 치료법이라는 사실에 대해서 환자와 의료진 모두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상연구에서 표준치료법과 비교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나 불편감에 대하여 환자는 낮은 인식도를 보였다.

여섯째, 피험자 동의서에 대해 환자는 스스로 얼마나 잘 이해한다고 느끼는지에 대한 주관적 인식도는 대체로 잘 알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임상연구에 참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이나 불편감, 임상연구 외에 환자가 선택할 수 있는 다른 치료방법 또는 종류, 임상연구를 목적으로 환자 자신의 의무기록이 외부인에게 공개될 수 있다는 사실, 그리고 임상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신체적 손상이나 질병이 발생했을 때 그에 대한 치료비 지불에 대해서는 보통 수준으로 알고 있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험자동의서에 관한 객관적 인식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환자의 피험자 동의서에 관한 주관적 인식도와의 관련성은 임상연구 참여 당시의 일상생활능력(p=0.10), 동의취득시 소요시간(p=0.12)과 환자가 참여하고 있는 임상연구의 종류가 맹검 연구(p=0.10)인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현장의 연구자 및 연구 간호사들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정보제공자가 잘못된 정보를 환자에게 전달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를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임상시험심사위원회(IRB)가 피험자 보호의 기능을 보다 적극적으로 할 수 있도록 피험자동의과정에 대한 평가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IRB는 피험자동의서를 심사할 때 보다 다각적인 시각에서 피험자 동의서에 기술된 내용이 피험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인지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하며,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평가가 가능한 도구를 또한 개발해야 할 것이다.

어렵고 모호한 단어로 많은 양의 정보만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피험자의 보호를 위해 반드시 포함시켜야 하는 내용을 피험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기술된 피험자 동의서의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점차로 임상연구의 분야 및 지역적 영역이 넓혀지고 있는 국제적 정세에 맞추어 국내에서도 특정 연구에 제한된 부분을 넘어선 임상연구 전반에 걸친 발전된 연구 윤리 제도를 구축, 정착해 나가야 할 것이다.





[영문]

Investigators have to obtain informed consent after providing patients with appropriate and sufficient information before enrolling participants in clinical trials.

However, concerns have been raised as to the adequacy of such consent, thu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mprove comprehension of clinical trials. There are few studies seeking this problems in Korea so far.

On the basis this domestic condition for Informed consent, it is needed to conduct an investigation regarding patients' cognition of the clinical trials.

This study presents a descriptive investigation intended to examine patient's objective and subjective cognition regarding clinical trials, it could be used by IRBs as a practical tool to oversee the process and outcome of informed consent.

The subjects include 80 adult patients with cancer and 64 medical faculties who works at the same institutes. Surveys were conducted by tool modified from QuIC (designated by Joffe, 2001). The QuIC consists of two parts, that means objective cognition and subjective cognition.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44 men and 36 women. Those who were over 30 years consisted 87.5%, being the biggest age group. The major educational level was high school(46.3%).

Secon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clinical trials, ECOG performance status at the time for signing was 1(57.5%); Gastrointestine track cancer was the most(38.8%), phase Ⅲ was the most(56.3%), Stage Ⅳwas the most(57.5%).

Third,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obtaining informed consent, the number of those who spent less than 1 hour until the consent was signed was 93.6%. Providers for informed consent were nurses(83.4%) in charge of clinical research.

Fourth, patients' cognition level of objectives in informed consent was pretty good(mean KS=73.6). Contrary to overall cognitions level, some items were lower.

Fifth, both patients and providers did not realize that the treatment being researched was not proven to be the best for their cancer, and that the study used non-standard treatment or procedures, and that participation might carry incremental risk, and that they might not receive direct medical benefit from participation.

Lastly, the knowledge score was not related to any factors contrary to expectations.

Summary score correlated weakly ECOG status at the time for signing, spending time for obtaining informed consent form, and whether study was blinded or not.

Based on the results, it suggests the education for investigators and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to prevent giving wrong information to patients.

The IRB must be capable of strong protection against subject's right by enhancing measures.

Also it's needed to improve the informed consent form to make better understanding possible. Throughout this well designated informed consent form, not only it would increase patient's cognition but it is expected to enhance quality of clinical trials.

In recent years, as the boundary of research field and regional sector is being lifted, it is important to set a healthy research moral system that could cover overall issues.
Files in This Item:
T01034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15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