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9 404

Cited 0 times in

뇌량에 발생한 뇌동정맥기형의 치료

Other Titles
 Treatment of callos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 
Authors
 이동엽 
Issue Date
2008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1984년부터 2005년까지 본 교실에서 조직학적 혹은 방사선학적으로 진단된 뇌량에 발생한 동정맥기형 환자는 총 56명으로 이들 환자의 입원기록과 방사선 검사 등 본 교실 뇌혈관기형의 데이터베이스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뇌량의 병소에 따라 뇌량슬(genu), 뇌량체(body), 뇌량팽대(splenium)의 위치별로 임상증상과 치료의 결과를 분석하였다.전체 56명 중 수술치료를 15예(26.8%)에서 시행하였으며, 치료 후 평균 추적기간은 19.4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는 1990년부터 2005년까지 본원 감마나이프(gamma knife)를 사용하여 40예(71.4%)에서 시행되었고, Marginal dose는 20~50Gy로 평균31Gy였고, isodose line은 50%에서 가장 빈도가 높았으며, 평균 추적 기간은 25.3개월이었다. 수술치료를 시행한 15예의 환자 중 13예(86.7%)는 완전적출, 2예(13.3%)에서는 부분적출을 하였으며, 부분적출을 한 2예 모두에서 재출혈이 있었다. 이 가운데 1예는 재수술, 1예는 감마선치료를 추가로 하였다. 수술치료군의 치료결과는 14예(93.3%)가 양호, 1예(6.7%)는 보통의 치료결과를 보였다. 방사선 수술을 시행한 40예중 35예(87.5%)가 양호, 3예(7.5%)는 보통, 2예(5.0%)는 불량한 치료결과를 보였다. 방사선 소견상 병소의 용적이 완전소실된 경우가 22예(55.0%), 부분수축이 16예(40.0%), 용적의 변화가 없는 무반응이 2예(5.0%)이었다. 치료잠복기 동안의 재출혈은 40예 중 3예(7.5%)에서 있었으며, 뇌량팽대부 병소 2예, 뇌량체 병소 1예이었다.뇌량동정맥기형의 치료는 병소의 위치, 증상발현 등에 따라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후유증 없이 최선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뇌량동정맥기형은 감마선치료 후 잠복기 출혈의 빈도가 여타부위보다 높으므로 출혈로 증상발현 된 뇌량슬과 뇌량체의 동정맥기형은 적극적으로 수술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뇌량팽대부 동정맥기형은 수술적 합병증의 빈도가 높은 부위이므로 우선적으로 감마선치료가 고려될 수 있고, 잠복기 출혈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뇌혈관 색전술을 고려해야 한다.본 논문은 뇌량의 동정맥기형에 대한 감마선치료법과 수술치료법의치료결과를 분석하여 뇌량에 발생한 뇌동정맥기형의 증상발현과부위에 따른 치료의 적응증과 치료법의 선택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Objective :To establish management strategy and to improve outcome of callosal arteriovenous malformations(AVMs), fifty-six consecutive cases hospitalized from 1984 to 2005 are analyzed.Methods : Clinical and radiologic files were reviewed.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9.4 months in microsurgery group, and 25.3 months in radiosurgery group.Results : The resection rate of microsurgery was considered total in 13 patients(86.7%), subtotal 2(13.3%). The final clinical outcome of microsurgery was good in 14 patients(93.3%), fair in 1(6.7%). One patient with splenial lesion had postoperative disconnection syndrome. Initial insults and hemodynamic complications were the major cause of an unfavorable outcome. In radiosurgery the complete regression of nidus was considered in 22 patients(55.0%), partial shrinkage in 16(40.0%), and no response in 2(5.0%). The clinical outcome of radiosurgery was good in 35 patients(87.5%), fair in 3 (7.5%), and poor in 2(5.0%). Rebleeding during the latency period(3 patients), radiation necrosis(1 patients) and initial insults(1 patients) were the major cause of postradiosurgery morbidity. Rebleeding during the latency period occurred in 3 patients(7.5%). Two lesions were in the splenium, and one lesion in the body of corpus callosum. All lesions were larger than 3cm in diameter. Two of them occurred during the second year, and the rest one during the third year of latency period.Conclusion : Microsurgery, which eliminates the risk of bleeding immediately, is referred for callosal AVMs. Radiosurgery is another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splenial lesions with large bridging veins that interfere with microsurgical approach, and combined endovascular treatment would be strongly recommended for the splenial lesions larger than 3cm in diameter that has higher risk of hemorrhage during the latency period.
Files in This Item:
T01020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surgery (신경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Lee, Dong Yup(이동엽)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401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