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 379

Cited 0 times in

전산화 단층 촬영 분석을 통한 상악동 중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sinus septa on computerized tomography 
Authors
 전환수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상악의 후방 치아는 치주질환으로 인해 치조골이 상실되어서 잃게 되는 경우가 흔하다. 이러한 치주질환으로 인하여 상악 후방 구치부에서 치아를 상실한 후에는 무치악 치조제의 흡수가 발생하여 치조골의 수직적 높이가 감소하고 또한 점진적인 상악동의 함기화로 인하여 더욱 치조제를 상실하게 된다.상악동 거상술이 도입된 이후로 상악 구치부에서 치조골 흡수가 심한 경우에도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술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상악동의 해부학과 가능한 해부학적 변이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상악동 거상술시 중격의 존재는 바깥 앞쪽벽(lateral antral wall)에서 창을 형성하고 거상시키는 것을 어렵게 한다. 또한 상악동막이 중격에 강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거상시 막이 천공될 위험이 있다.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동 거상술시 중격의 존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하고 술전에 수술계획을 적절히 세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악동 중격의 발생빈도, 호발 부위, 높이, 형태, 방향 등을 전산화 단층 촬영과 3차원영상 재구성 소프트웨어인 Accurex(CyberMed Inc)프로그램을 통한 입체영상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연세대학교 치과대학 병원을 내원한 환자들 중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상악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한 200명의 환자들 대상으로 하였고 방사선과에서 보유한 CT Hispeed Advantage 전산화 단층 촬영 장치(GE Medical System, Milwaukee, U.S.A)로 상층두께 1mm로 연속적인 횡단면 전산화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다. 횡단영상에서 중격의 존재와 주행방향을 확인한 후 reformatted panorama상에서 위치를 조사하였다. 중격의 존재가 확인된 환자의 사진 파일을 Accurex 프로그램(CyberMed Inc, Seoul, Korea)을 이용하여 입체영상과 횡단(axial), 시상(sagittal), 관상(coronal)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중격의 각도와 길이를 측정하고 입체상에서와 비교하여 상악동 중격의 발생빈도, 높이, 형태, 방향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200명의 환자 중에서 74명에서 중격이 존재하였고(37%), 400개의 상악동에서 111개의 중격이 관찰되었다(27.7%).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남자 35명(35%), 여자 39명(39%)에서 나타났고, 연령군으로 비교시 45∼55세 환자군에서는 36명(36%), 56∼65세 군에서는 38명(38%)에서 중격이 존재하였으며 성별과 연령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2. 중격의 위치는 소구치에 위치한 경우가 25개(22.5%), 대구치에 위치한 경우가 51개(45.9%), 제2 대구치 원심측에 위치한 경우가 35개(31.5%)였다.3. 양쪽에 중격이 존재할 경우 오른쪽, 왼쪽 중격의 위치가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p<0.05).4. 중격의 높이는 오른쪽이 7.78±2.99mm 왼쪽이 7.89±3.09mm 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5. 중격의 주행 형태는 대부분이 (106개) buccopalatal 형태 였다.이상의 결과로 상악동 중격은 37%의 발현률을 나타나고 있으며 그 위치와 형태가 다양하므로 상악동 거상술 시행 전 컴퓨터 단층 촬영 분석을 통한 상악동 해부학에 대한 철저한 이해와 그에 따른 적절한 치료계획으로 해부학적 변이에 의한 시술시의 합병증을 대비하고 예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Maxillary posterior teeth are among the teeth with the highest incidence of periodontal bone loss and tooth loss. After tooth loss, the edentulous alveolar process of the posterior maxilla is often affected by resroption. Such resorption results if a loss of vertical bone volume, whereas progressive sinus pneumatization leads to a decrease in the alveolar process from the cranial aspect.During recent years, the "sinus-lift"(or "sinus-elevation") surgical technique has opened up a new way of anchoring endosseous implants despite marked bone reduction. Surgical intervention in the posterior maxillary region require detailed knowledge of maxillary sinus anatomy and the possible anatomic variation. The presence of septa also make it difficult to prevent perforation of the Schneiderian membrane when elevating it from an alveolar recess containing several septa.Precise knowledge of the patient's maxillary sinus morphology allows exact planning of surgery and helps to avoid such com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prevalence, location, height, morphology, orientation of maxillary sinus septa by using computed tomography and 3D-imageComputerized tomography and DentaScan reformatted cross-sectional images of 200 patients treated in the Dental College of Yonsei University were taken for analysis of the maxillary sinus septa. Data from 400 sinuses were analyzed from reformatted computerized tomogram utilizing Pieview program, and rendered 3D image for measurement and comparison by using Accurex program.The results were as follows:1. A total of 111 septa were found in 400 maxillary sinuses(37%), which corresponded to 37% of the patient(74 of 200)2. Analysis of the anatomic location of septa within the sinus revealed that 25(22.5%) septa were located in the anterior region, 51(45.9%) were in the middle, and 35(31.5%) were in the posterior region.3. Analysis of the morphology of septa revealed that 106 septa were buccopalatal type, 4 septa were sagittal type, and 1 was transverse type4. The mean height of the septa was 7.78±2.99mm in the right sinus and 7.89±3.09mm in the left sinusTo avoid unnecessary complication during sinus augmentation precedeures, adequate and timely identification of the anatomic structures inherent to the maxillary sinus must be accomplished.
Files in This Item:
T01002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82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