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99 858

Cited 0 times in

안전성 확보를 위한 먹는물 수질기준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for establishment of safety 
Authors
 오윤영 
Issue Date
2007
Description
환경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우리나라의 먹는물 수질기준은 1963년 처음 29개 항목에 대해 제정된 이래, 여러 차례의 개정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그동안 정수처리 기술의 발전을 기반으로 수질기준 초과율은 1%미만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은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설정되었다기보다는 외국의 기준을 참고하여 설정되어 왔으며, 발암물질의 경우 10년 이상 동일한 수질기준을 적용하여 오고 있어, 안전한 물을 공급하고 있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다.먹는물 수질기준은 유해물질로부터의 건강 보호와 안전한 물의 공급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이를 위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을 동원하여 수질기준을 설정하고 있다.따라서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위해성평가를 이용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기준 설정이 필요하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 WHO 등 선진 외국의 먹는물 수질기준과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을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위해성 평가를 이용하여 먹는물 수질기준의 안전성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제화 시대에 걸맞는 수질기준의 마련을 위한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았다.본 연구 결과, 수질기준 항목수의 확대, 수질기준 설정시 목표농도의 설정, 물질 특성과 초과 농도범위에 따라서 수질기준 초과에 대한 재정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수질검사 결과 표기시 정량한계 이하 값을 불검출로 표기하는 것은 정확한 수질관리를 어렵게 할 뿐 아니라, 건강위해성을 간과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므로, ‘정량한계 이하’로 바꾸어 표기할 것을 제안한다.또한 위해성평가 결과 비발암물질의 유해영향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성 강화차원에서 6가 크롬은 0.02㎎/ℓ, 카드뮴은 0.002㎎/ℓ, 톨루엔은 0.4㎎/ℓ로 수질기준을 강화하고, 6가 크롬, 카드뮴, 시안, 수은, 세레늄의 정량한계를 각각 0.003㎎/ℓ, 0.001㎎/ℓ, 0.007㎎/ℓ, 0.0005㎎/ℓ, 0.01㎎/ℓ로 강화할 것을 제안한다.발암물질의 경우, 위해도는 대체적으로 10-5~10-6 수준으로 나타나 일반적인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나, 발암물질은 비가역적인 특성을 고려해 수질기준이 강화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이에 납 0.015㎎/ℓ, 비소 0.01㎎/ℓ, 트리클로로에틸렌 0.005㎎/ℓ, 벤젠 0.005㎎/ℓ, 디클로로메탄 0.005㎎/ℓ으로 수질기준을 강화하고, 납의 정량한계는 0.01㎎/ℓ, 비소는 0.003㎎/ℓ으로 조정할 것을 제안한다.마지막으로 먹는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고 있는 수질기준을 통일할 것을 제안한다.그러나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의 수질검사 자료만을 이용하였다는 점과 노출경로를 섭취에 의한 단일경로로 설정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는 만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The Korean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has thus far been amended several times. But the Korean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has been established by reference to the foreign standard and the same water quality standard has been applied to carcinogenic substances for more than 10 years. Therefore, it is unreasonable to say that safe drinking water has been supplied for people.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is needed to protect public health from hazardous substances and supply people with safety water. For this purpose, the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 was established by mobilizing the scientific, systematic method from WHO, the US and the like.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extend the number of items of the water quality standard, set the goal of concentrations and proposed to indicate the value of less than the quantitiation limit as less than ‘less than the detection limit’ in indicating the result of water quality examination.And in case of non-carcinogenic substanc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was reinforced to hexachromium 0.02㎎/ℓ, cadmium 0.002㎎/ℓ, toluene 0.4㎎/ℓ. The detection limit of hexachromium, cadmium, cyanide, mercury, selenium was reinforced to 0.003㎎/ℓ, 0.001㎎/ℓ, 0.007㎎/ℓ, 0.0005㎎/ℓ, 0.01㎎/ℓ, respectively. In case of carcinogenic substances, the water quality standard was reinforced to lead 0.015㎎/ℓ, arsenic 0.01㎎/ℓ, trichloroethylene 0.005㎎/ℓ, benzene 0.005㎎/ℓ, dichloromethane 0.005㎎/ℓ.This study proposed to adjust the detection limit of lead and arsenic to 0.01㎎/ℓ and 0.003㎎/ℓ, respectively.Finally, this study proposed to unify the water quality standard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kinds of drinking water.
Files in This Item:
T00994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75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