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599

Cited 0 times in

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 악하선으로의 전이의 임상적 의의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변형권-
dc.date.accessioned2015-11-21T07:09:17Z-
dc.date.available2015-11-21T07:09:17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719-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두경부 암에서 방사선 치료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나 이와 관련된 주요 합병증인 구강건조증이 적지 않게 보고되고 있다. 구강 건조증을 예방하기 위해 악하선을 보존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이의 종양학적인 안전성에 대한 검토가 우선되어야 하며 이에 대해 국내에서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구강 편평세포암에서 악하선의 전이 빈도 및 그 양상을 파악하여 악하선을 보존하는 데 대한 종양학적 근거를 찾고자 한다.본 연구는 1991년 2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세브란스 병원 이비인후과에서 구강 편평세포암종으로 진단 받고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201명을 대상으로 그 의무기록과 조직 표본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으며, 그 결과 2 명에서 악하선의 종양 침투 소견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원발 부위의 직접 침습에 의한 것이었으며 경부 level I 부위의 전이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이를 통해 구강 편평세포암에서 악하선의 전이는 그 빈도가 극히 낮으며 악하선에 종양 세포가 침윤된 경우는 원발 부위 암의 직접적인 침습이 있을 때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구강 편평 세포암의 원발 부위가 가까이 위치하여 직접적인 침습이 의심되는 경우가 아니면 악하선을 보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Radiotherapy stands as an important mode of treatment for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However, radiation therapy has significant associated morbidity including injury to the major and minor salivary glands resulting in xerostomia. Methods of preserving the submandibular gland for prevention of xerostomia are being proposed by many authors, but evaluation on the oncologic safety of these procedures are required.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and how the submandibular gland is involved in metastase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oral cavity and to provide oncological basis as to preserve the submandibular gland.This retrospective study reviewed the records and pathologic specimens of 20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oral cavity squamous cell carcinoma and underwent surgery at Yonsei Severance Head and Neck Cancer Center from 1991 February to 2006 December. The results revealed 2 cases with evidence of carcinoma involvement in the submandibular gland. All 2 cases had direct extension from an ipsilateral primary lesion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level I metastasis for both cases. No submandibular glands showed pathologic evidence of metastasis.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incidence of submandibular gland metastasis in oral cavity carcinoma is extremely rare and its involvement is through direct extension from a primary lesion. Therefore, if the primary lesion of the oral cavity carcinoma is not in close proximity and hence does not provide suspicion of direct extension, it may be safe to preserve the submandibular glan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구강 편평세포암종에서 악하선으로의 전이의 임상적 의의-
dc.title.alternativeClinical significance of metastasis to the submandibular gland in oral cavity squamous cell carcinoma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Research Institute of Radiological Science (방사선의과학연구소)-
dc.contributor.localIdA0186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Byeon, Hyung Kwo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변형권-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Research Institute (부설연구소)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