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9 1189

Cited 0 times in

뇌졸중 재활치료 환자의 퇴원 후 재입원에 대한 추적연구

Other Titles
 Follow-up study in rehospitalization of stroke rehabilitation patients 
Authors
 김은경 
Issue Date
2007
Description
보건정책 및 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뇌졸중은 사망원인의 수위를 차지하며 장기적 장애의 원인이 되는 첫 번째 질환으로서 뇌졸중의 유병률이 증가함에 따라 이로 인한 장애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활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그런데 중증 장애가 남은 환자를 제외한 나머지 환자들은 재활치료 후 조속히 가정이나 사회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제로는 퇴원 후에도 집으로 복귀하지 않고 다른 병원으로 다시 입원하는 경우가 적지 않으며 이에 대한 원인이나 대책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재활치료를 받고 퇴원한 뇌졸중 환자들 중에서 기관으로 퇴원한 환자와 집에 거주하는 환자들의 분포를 파악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집으로 복귀하지 못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개병원 재활의학과에 입원하여 재활치료를 받았던 환자들 중에서 중증 장애 환자를 제외한 204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퇴원 후 목적지와 퇴원 후 6개월 시점의 재입원 여부 및 이것에 영향을 주는 임상적 요인, 인구학적 요인, 사회적 요인 등을 의무기록과 설문조사를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였다.연구결과, 대상 환자의 64%가 기관(institution)으로 퇴원하였으며 퇴원 후 6개월 시점에서도 43%의 환자가 기관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원후 목적지가 기관인 환자군에서 total FIM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점수와 mobility FIM점수가 낮았고, 발병후 입원시점까지의 기간이 6개월 이상인 경우가 많았으며, 건강보험 환자에 비해 의료급여 환자가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원후 6개월 시점의 거주지가 기관인 환자군에서는 mobility FIM점수, cognitive FIM점수가 유의하게 낮았고, 가족이 돌볼 수 없는 경우가 많았으며, 발병후 기간이 6개월이 지난 경우와 의료급여 환자인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관으로 퇴원하는데 관련되는 요인은 환자의 나이, 의료보장 유형, 퇴원시점의 mobility FIM점수 등이었고, 퇴원 후 6개월 시점의 거주지는 의료보장 유형, 퇴원시점의 mobility FIM점수, cognitive FIM점수 등이 유의한 관련 요인이었다. 환자나 그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퇴원 후 6개월 이내에 재입원한 환자의 경우 환자의 기능 상태가 좋지 않아 재입원하였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퇴원 후 집에 거주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는 지역사회 시설을 이용하고자 하나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한 경우가 많았고 그 이유로 ‘주변에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없어서’, ‘환자의 이동이 불편해서’ 등을 들었다.위의 결과와 같이 중증 장애 상태가 아닌 뇌졸중 환자들의 경우 이동 동작의 독립정도가 환자들의 재입원에 영향을 주었고, 집에 거주하는 환자들 중 다수가 지역사회 시설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치료하기를 원하지만 주변에 시설이 없거나 시설까지 이동하는데 불편을 느껴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이동 능력이 독립적이지 않은 환자들은 일단 병원에서 퇴원한다고 하더라도 다시 입원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보행 가능성이 있는 환자들은 독립적 이동이 가능할 때까지 조기 퇴원(premature discharge)을 하지 않도록 하여야 이들의 반복 입원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동 능력이 독립적인 환자들은 집으로의 복귀를 유도하고 이들이 지역사회 시설을 이용하여 계속 치료받을 수 있도록 지역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시설까지 환자의 이동수단을 마련하는 등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ObjectiveThis study aimed to examine discharge destinations (not home vs. home) and living settings at 6 months follow-up for stroke patients discharged from a rehabilitation unit and to identify clinical,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living settings of patients.MethodThe subjects were 204 stroke patients discharged from one rehabilitation unit, excluding chronic (onset duration>6months) and severely disabled (FIM score<35) patients. Medical record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o obtain influencing factors. Whether or not the patients had been rehospitalized right after discharge or at the point of 6 months post-discharge was examined by hospitalization records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Telephone surveys were also conducted for additional follow-up informations.ResultsSixty-four percents of the patients were not discharged to home and forty-three percents were not at home at 6 months after their discharges. The results by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variables for discharge destination: age, mobility FIM score, type of payment; and variables for residence at 6 months post-discharge: mobility FIM score, cognitive FIM score, type of payment.Readmitted patients answered to surveys that they were rehospitalized primarily due to their dependent functional status. Patients living at home wanted to use community rehabilitation services but there were not enough community facilities nor means of transportation. ConclusionIndependent mobility or ambulation of stroke patients is a significant factor for determining living settings of patients in this study. Consequently, avoiding premature discharges, such as discharging before patients get ability to move independently, is desirable for patients with ambulation potentiality to keep these patients from rehospitalization. Community facilities for continuous rehabilitation training are also required for mild disabled stroke patients.
Files in This Item:
T00985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65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