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30

Cited 0 times in

노인환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조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순분-
dc.date.accessioned2015-11-21T07:06:28Z-
dc.date.available2015-11-21T07:06:28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614-
dc.description간호학교육/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20세기에 들어 의학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개선 및 의료해택의 확대 등으로 노인인구의 증가가 급격해지고 인구의 노령화 현상이 점차 나타나게 되었다. 노년기에 있어서 죽음은 필연적으로 거쳐야 하는 과정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은 노인의 삶을 재조명하는데 대단히 중요하며 자아개념은 노년기에 있어 죽음과 더불어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 병원 노인환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그 결과로서 노인들이 남은 생을 질적인 삶으로 이루도록, 노인간호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1992년 4월6일부터 4월28일까지 23일동안 서울시 소재 1개 대학부속병원에 입원하거나 외래를 방문한 노인환자를 유한 모집단으로 하여 대상자 선정기준에 의해 유의표출한 80명을 연구대상으로 구조환된 질문지를 이용한 면담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죽음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김태현, 손양숙이 개발한 죽음에 대한 태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자아개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의 Self-Esteem Scale을 전병재가 한국어로 변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에 의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각 문항에 대해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아개념 정도는 구성비율과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을 구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재변수와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는 t-test와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제변수들간의 관계는 피어슨 적율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총점 84점 중 최소값 43점, 최대값 82점, 평균 61.33점, 표준편차 7.78로 노인환자들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자아개념 정도는 총점 40점 중 최소값 21점, 최대값 38점, 평균 28.64점, 표준편차 4.21로 노인환자들이 높은 자아개념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냈다. 3) 가설검증을 위하여 노인환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아개념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830, P<.001). 즉 '자아개념 정도가 높을 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동거유형(F=2.8488, P<.05), 용돈상태(F=3.3777, P<.05)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동거 유형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기타집단 (손자, 손녀와 함께 사는 집단)과 결혼한 아들과 함께 사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결혼한 딸과 함께 사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죽음에 대한 태도가 가장 긍정적이었다. 용돈 상태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는 용돈상태가 매우 충분한 집단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아개념 정도와의 관계에 대한 유의성 검증 결과 경제상태(F=3.3777, P<.05)에 대해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경제상태가 높을수록 자아개념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자아개념정도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어 자아개념을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로 노인 환자에 있어서 남은 인생을 질적 삶으로 이루도록 하여 세상을 보람있고 뜻있게 살다 가도록 하는 적절한 간호가 요구된다. [영문]The advancement of medical sciences,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expansion of medical benefits in the 20th century have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s well as an aging of population. Death is a reality for elders and it is important that death leads elders to reevaluate their lives. Self-concept in old age, also, has an important meaning along with death.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s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 elder's self-concept to identify the necessary care for elders that will lead to an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ir lives. Eighty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were the sample us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the following : Attitude toward death was measured using an instrument development by Kim, Tae-Hyun&Son, Yang-Sook and self-concept by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Jun, Byung-Jae. Data was entered into a SPSS/PC program and normal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Questions related to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the level of self-concept were represented by numbers and the average as well as the maximum, minimum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test similarities between the nominal characteristics and the other variables, t-test and ANOVA were employed. To test the hypoths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was test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ttitude toward death by the subjects ranged from a minimum of 43 to a maximum of 82, averaging 61.33 out of 84,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7.78. These indicates that elders in this study had a positive attitude. 2. Self-concept of the subjects ranged from a minimum of 21 to a maximum of 38, averaging 27864 out of 40, and the SD was 4.21. This indicates that elders had a high self-concept.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s attitude toward death and self-concept was analyzed to test the hypothesis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r=0.3830, p<0.001). In other words. this study provided for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self-concept is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death will 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minal characteristics and the attitude toward death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living status(F=2.8488, O<0.05) and financial status (F=3.3777, P<0.05). The gruop that lived with grandchildren and the group that lived with a married son had a high correlation in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self-concept while the group living with a married daughter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death.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minal characteristics and the level of self-concept depended on financial stability. The study found that elders who were better off financially had the higher levels of self-concept.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ld-concept was,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death was. This indicates that there should be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hich allows elders an opportunity to raise the level of self-concept and thus to lead the remaining of their life with satisfac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노인환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자아개념과의 관계조사-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toward death and self-concept in elderly patients.-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