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7 839

Cited 0 times in

당뇨병성 족부병변 수술을 위해 0.25% 고비중 저용량 bupivacaine을 사용한 안장마취 시 좌위 유지시간에 따른 지각신경 차단 범위

Other Titles
 Dermatome level of sensory blockade according to the periods of the sitting 
Authors
 조민정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연구 배경: 척추마취 후 저혈압 발생의 중요한 위험 요소는 교감신경 차단 범위이다. 따라서 저혈압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 부위에 따라 교감신경 차단 범위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율신경병증을 동반하여 심혈관계가 불안정한 당뇨병성 족부병변 환자의 수술은 압박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차단 범위가 요구되지 않아 흔히 저용량의 국소마취제를 사용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용량의 0.25% 고비중 bupivacaine으로 안장마취를 시행하였을 때 좌위 유지시간이 임상적 검정이 가능한 지각신경 차단 높이와 혈역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대상 및 방법: 당뇨병성 족부병변 수술이 예정된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고비중 0.25% bupivacaine 1.5 ml (3.75 mg)를 사용하여 안장마취를 시행하였다. 좌위 유지시간에 따라 환자를 무작위로 세 군으로 나누어 D2군은 2분, D5군은 5분 및 D10군은 10분 동안 좌위를 유지한 후 앙와위로 전환하였다. 마취 전 앙와위와 좌위에서 각각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마취 직후에는 5분 간격으로, 마취 20분 후에는 10분 간격으로 감각신경의 차단 범위와 혈압과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최대 감각 차단 높이와 이에 도달하는 시간, 앙와위로 체위 변환 후 증가된 피부 분절 수 및 두 피부 분절 회귀 시간(two segment regression time)을 측정하였다.결과: 최대 감각 차단 높이의 중앙값과 범위는 각각 D2군에서 L3 (L1-L4), D5군에서 L4 (T11-L5) 및 D10군에서 L4 (L3-L5)이었으며, D2군이 D10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최대 감각 차단 높이에 도달하는 시간, 앙와위로 체위 변환 후 증가된 피부 분절 수 및 두 피부 분절 회귀 시간은 각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평균동맥압과 심박수의 변화도 각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결론: 안장마취는 자율신경병증을 동반하여 심혈관계가 불안정한 당뇨병성 족부병변 환자의 수술 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마취 방법으로 생각되며, 고비중 0.25% bupivacaine 3.75 mg을 사용하여 좌위 유지시간 5분이면 제4 요부 피부 분절까지 차단됨으로써 적정한 마취 범위를 얻고 심혈관계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For prevention of hypotension during spinal anesthesia, it is important to minimize level of peak sensory block possible for the planned surgical procedure. One of the benefits claimed for hyperbaric solution is that their spread can be controlled by postur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different periods of sitting after spinal anesthesia with low dose of 0.25% hyperbaric bupivacaine on the spread of analgesia and hemodynamic change.Forty-five patients undergoing diabetic foot surgery under spinal anesthesia remained sitting for 2 (D2 group, n = 15), 5 (D5 group, n = 15), or 10 (D10 group, n = 15) minutes after completion of the subarachnoid administration of 3.75 mg of 0.25% hyperbaric bupivacaine. They were then placed in the supine position. Level of sensory block,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were assessed.The maximal level of sensory block was higher (P < 0.05) in D2 group (median L3) than D10 group (median L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s of mean arterial pressure and heart rate among the three groups.In conclusion, we believe that saddle block is safe anesthetic technique for patients with autonomic neuropathy undergoing diabetic foot surgery. When 3.75 mg of 0.25% hyperbaric bupivacaine is injected intrathecally and then sitting position is maintained for 5 minutes, saddle block provides adequate anesthesia by sensory block extending to the L4 dermatome with hemodynamic stability.
Files in This Item:
T00977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esthesiology and Pain Medicine (마취통증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Cho, Min Jeong(조민정)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58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