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자가골과 혈소판 농축 피브린 접착제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시행한 수직적 치조제 증대술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이현중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1T07:04:36Z | - |
dc.date.available | 2015-11-21T07:04:36Z | - |
dc.date.issued | 2007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548 | - |
dc.description | 치의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연구 목적 : 성견 하악골 치조제 결손 부위에서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수직적 치조제 증대술을 시행하는 경우 혈소판 농축 피브린 접착제와 자가골을 혼합하여 골이식술에 사용해 봄으로써 혈소판 농축 피브린 접착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재료 및 방법 : 6마리의 잡종견에서 하악골 양측에 치조제 결손 부위를 형성하였다. 약 3개월 경과 후 각 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면서 장골에서 채취하여 분쇄한 자가골과 자가 혈소판 농축 피브린 접착제를 혼합하여 하나의 임플란트 주위에만 수직적 치조제 증대를 위한 골이식술을 시행하였고(실험군) 다른 하나의 임플란트 주위에는 골이식술을 시행하지 않았다(대조군). 약 6개월 경과 후 성견들을 희생시켜 조직학적 검사 및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결과 : 대조군에서 결손된 치조제의 높이 증가는 한계를 보였으나(0.6 ± 0.4 ㎜) 실험군에서는 결손된 높이의 63%를 회복하며 치조제의 높이가 뚜렷이 증가하였다(4.2 ± 1.0 ㎜). 실험군에서 임플란트 주변에 형성된 신생골 부위의 신생골과 임플란트 간골유착율(40.5%)은 기저골 부위에서의 기저골과 임플란트 간 골유착율(48.4%)과 통계학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결론 : 결손된 치조제의 높이 회복을 위하여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수직적 치조제 증대술을 시행하는 경우 혈소판 농축 피브린 접착제를 자가골과 혼합하여 골이식술 시 사용하면 뚜렷한 치조제의 높이 증가와 신생골과 임플란트 간 양호한 골유착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bined use of autogenous bone and platelet-enriched fibrin glue as grafting material for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with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in a canine alveolar ridge defect model.Study design : In 6 mongrel dogs, bilateral vertical alveolar ridge defects were created in the mandible. After 3 months of healing, 2 dental implants were placed in each defect of the mandible, creating 6 ㎜ supra-alveolar peri-implant defects. The 2 implants per defect were subjected to surgical treatments involving either a combination of autogenous bone grafts and platelet-enriched fibrin glue, or a conventional flap procedure only (control). After a healing period of 6 months, the dogs were humanely killed for histological and histometric analyses.Results : Implant placement alone produced limited vertical alveolar height (0.6 ± 0.4 ㎜). However, alveolar augmentation including a combination of autogenous bone grafts and platelet-enriched fibrin glue with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resulted in alveolar ridge augmentation amounting to 4.2 ± 1.0 ㎜, comprising 63% of the defect height. New bone-implant contact was 40.5% in the defects treated with combined autogenous bone grafts and platelet-enriched fibrin glue, and was 48.4% in the resident bone; this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bone grafts and platelet-enriched fibrin glue with simultaneous implant placement might effectively increase vertical alveolar ridge height and allow for an acceptable level of osseointegration.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자가골과 혈소판 농축 피브린 접착제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식립과 동시에 시행한 수직적 치조제 증대술 | - |
dc.title.alternative | Vertical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ing autogenous bone grafts and platelet-enriched fibrin glue w | - |
dc.type | Thesis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ee, Hyeon Jung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