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61 509

Cited 0 times in

팽대부 암의 면역조직화학적 분류의 임상적 중요성

Other Title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immunohistochemical classification of ampulla of vater cancer 
Authors
 김형일 
Department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팽대부 악성 종양은 팽대부 주위에 생기는 악성 종양에 비하여 비교적 초기에 증상이 발현되어 대부분의 경우 근치절제가 가능하여 예후가 비교적 양호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환자들의 예후가 진단 당시의 병기와 다른 경우가 드물지 않아 추가적인 예후 인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을 통해 CA19-9, EGF수용체, Her2/Neu, p53단백, Ki-67단백, apomucin MUC1, MUC2, MUC5ac, Cytokeratin7, Cytokeratin20, CEA가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여 환자의 예후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CK-7과 CK-20을 기준으로 면역조직학적 분류를 췌담도형과 장형으로 구분한 결과 생존율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다른 면역조직화학 염색결과와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CA19-9의 과 발현은 종양의 크기와, Ki-67의 과 발현은 종양의 육안적 소견과 림프절 전이 및 림프혈관 침습 등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계가 있었으며, 그 외의 지표는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팽대부암의 예후 인자들과 생물학적 지표들의 양성여부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을 때 성별, 림프절 전이, 림프혈관 침윤, EGF수용체 과발현, Her2/Neu 과발현, Ki-67의 과발현 및 CEA의 과발현 등이 의미 있는 인자였다. 이들 인자 중 다변량 분석에서도 의미 있는 것은 오직 림프혈관 침윤이었다. 결론적으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통해 장형과 췌담도형으로 조직학적 분류를 하였을 때 생존율의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는 못하였고 면역조직화학 염색이 시행된 항목 중에 생존율에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것은 EGF수용체 과발현, Her2/Neu 과발현, Ki-67의 과발현 및 CEA의 과발현이었다.

[영문]Ampulla of Vater cancer has been known to have more favorable prognosis compared to bile duct cancer or pancreatic cancer. But additional prognostic factor is required due to the disagreement of TNM staging with patient prognosis. The monoclonal antibody to CA19-9, EGF-receptor, Her2/Neu, p53 protein, Ki-67 protein, apomucin MUC1, MUC2, MUC5ac, Cytokeratin 7, Cytokeratin 20, CEA were used for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All the cases were classified as intestinal or pancreaticobiliary type according to CK-7 and CK-20 expression. But this classification failed to make a difference of survival and failed to reveal relationship between IHC result. CA19-9 over expression was related to increased tumor size. Ki-67 over expression was related to gross morphology, node metastasis and lymphovascular permeation. There was statistically shorter survival in female, lymph node metastasis(+), lymphovascular permeation, EGF-receptor(+), Her2/Neu(+), Ki-67(+), CEA(+) groups. This seven clinicopathologic factors which had statistical effect were analyzed with Cox regression, Only lymphovascular permeation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conclusion, Intestinal type and pancreaticobiliary type which is identified by IHC staining with CK-7 and CK-20 have failed to make a survival difference. EGF-receptor, Her2/Neu, Ki-67 and CEA over expression are unfavorable prognostic factor
Files in This Item:
T009632.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Hyoung Il(김형일)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2-6134-4523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44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