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4 594

Cited 0 times in

관상동맥에서 분지부 모혈관크기와 주지 분지 혈관크기 합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of arterial size between the parent vessel and the sum of branches for the coronary bifurcating segments 
Authors
 고승일 
Issue Date
2007
Description
역학통계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관상동맥의 분지혈관에서 주지, 분지합과 모혈관의 관계를 통해 분지혈관의 크기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4년 1월부터 2년간 서울시 10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협심증을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의 정상 혈관내초음파 32건, 병변이 있는 환자의 혈관내 초음파 42건의 자료이다. 자료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기술적 통계, t-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상자의 연령적 특성은 환자군에서는 60세~70세가 47.6%로 많았고, 대조군에서는 60세 이하의 집단이 56.2%로 많았다. 성별은 환자군에서 남자가83.3%로 많이 분포 하였고 대조군에서는 남자가 56.2%로 조사되었다.2. 모혈관, 주지혈관, 분지혈관, 주지,분지합에 대한 환자군과 대조군의 평균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3. 모혈관과 주지, 분지합의 면적에 대한 상관분석은 환자군에서 0.723, 대조군에서 0.790이고 직경에 대한 상관분석은 환자군에서 0.701, 대조군에서 0.800이며 면적과 직경 모두 환자군과 대조군의 상관게수의 크기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4. Murray's Law에 기초한 상관분석에서 면적과 직경 모두 0.7의 상관계수를 보이고 환자군과 대조군의 상관계수의 크기에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5. 주지, 분지합을 종속변수로 하고 모혈관을 독립변수로 한 면적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은 모혈관 면적의 회귀계수는 1.03이고, 모혈관 직경의 회귀계수는 1.47이며 면적과 직경 모두 환자군과 대조군의 회귀계수에는 차이가 없었다.6. 면적과 직경의 주지, 분지합은 모혈관의 크기뿐만 아니라 해부학적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결론적으로 면적을 측정한 경우에는 주지,분지 면적의 합에 대한 모혈관의 면적의 회귀계수는 1.03이고, 면적을 측정하지 못하고 직경만 알고 있을때는 주지,분지 직경의 합에 대한 모혈관의 직경의 회귀계수는 1.47이므로 주지, 분지 면적의 합은 모혈관의 면적이 1증가할 때 1.03증가하고 주지, 분지 직경의 합은 모혈관의 직경이 1증가할 때 1.47증가하는 결과이므로 이를 근거로 왜곡된 분지혈관의 크기를 추정할 수 있다.

[영문]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dict the vessel size of the branches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of vessel size in the bifurcating segments. The study was performed in general hospital that had more than 1000 beds in Seoul for 2 years from January 2004. In this study,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imaging of 32 angiographically normal-looking segments (controls), and 42 diseased segments (cases) was analyzed. Student’s T-test, analysis of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AS statistic program.The result is as follows.1. 47.6% of the participants in the case group were aged 60-70s with 83.3% of male patients, while 56.2% of the subjects in the control were under 60 with 56.2% males.2. No particular differences in average size between the control and case groups was observed in the parent vessel, the main branch, the side branch, and the total size of main branch and the side branch.3.. The analysis of correlation on the size of the parent, main and side branch regions was 0.723 in the case groupand 0.790 in the control group. The analysis of correlation on the diameter of the parent, main and side branch regions was 0.701 in the case groupand 0.800 in the control group with no difference in the size and diameter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4. Analysis of correlation on the size and diameter based on Murray’s Law showe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0.7 for both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5.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combined size of the side and main branches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parent vessel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showed a regression coefficient of 1.03 on the size of the parent vessel, and 1.47 for the diameter of the parent vessel, and this was without interaction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groups.6. The combined size and diameter of the main and side branches were affected by both the anatomical position and the size of the parent vessels.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size of the parent vessel with the combined size of the main and side branches was 1.03 regard to vessel size, while regression coefficient for the diameter of the parent vessel with the combined diameter of the main and side branches was 1.47 based on the diameter. Therefore, we conclude that we can estimate the size of the distorted side branch when performing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Files in This Item:
T00956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37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