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122

Cited 0 times in

지역과 계절에 따른 아시아 여성의 피부 특성 연구

Other Titles
 Study of ski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gional and seasonal changes in Asian women 
Authors
 이해광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과학과/박사
Abstract
[한글]피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매우 중요한 기관이며, 외부요인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는다. 피부표면(각질층)의 수분은 외부의 온도와 습도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으며, 낮은 습도 환경 하에서 피부는 건조해지나, 높은 온도 환경에서는 피부표면의 피지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피부의 특성은 유전적 형질이나 인종, 성별등에 따른 내부적 요인에 따라서도 차이가 난다. 그러나 피부의 병태생리를 규명하는 데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피부의 환경에 따른 차이와 변화를 연구한 보고는 미미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백인에 대한 연구나 백인과 흑인의 비교연구 등을 통해서 이와 같은 분야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아시아인에 대한 연구는 소수이며 결과도 모호하다. 그러므로 인종간의 피부특성 연구 뿐 아니라 아시아인의 지역과 계절에 따른 피부특성의 연구는 매우 의미가 있다. 기존에는 주관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인종간 피부 특성 차이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보다 객관적인 방법이 이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아시아인의 피부의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중국 4개도시 (홍콩,상해,북경,심양)와 용인에 사는 여성을 대상으로 하절기와 동절기에 객관적인 측정방법으로 경피 수분 손실량, 피부 수분량, 피부표면 피지량, 피부표면 pH, 피부색상, 피부민감도 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하절기의 피부 수분량은 용인이 가장 낮으며 북경이 가장 높았다. 동절기는 상해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상해가 계절간 변화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2.하절기의 피부표면 피지량은 홍콩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용인, 상해 순이었다. 동절기는 지역별 차이가 있었으나 하절기에 비해 낮은 피지량을 보였다.3.하절기의 경피 수분 손실량은 홍콩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동절기에는 상해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뺨 부위에서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4.피부표면 pH는 용인이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동절기에도 유사하였다. 모든 지역이 전체적으로 하절기 대비 동절기의 pH 가 상승하였다. 특히 상해가 pH의 많은 상승을 나타내었다.5.피부색은 이마 부위를 기준으로 하절기에는 용인이 가장 밝은 색상을 보였으나, 동절기에는 홍콩이 가장 밝은 색상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는 동절기에 피부색이 밝아졌다.6.피부 민감도는 용인이 가장 민감한 피부 반응을 보였다. 지역별 차이는 하절기와 동절기에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동절기는 하절기보다 민감성의 반응 정도가 증가하였다.이상의 결과로 조사한 각 지역과 계절별로 피부상태가 차이가 나며, 이러한 차이는 환경적 요인 및 유전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문]Human skin is very important organ for protecting the body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t is affected by the extrinsic factors. For example, skin hydration is affected by environmental temperature and humidity. Low humidity makes skin dry, on the other hand high temperature makes skin oily and sometimes makes acnes. And skin has also different properties depending on intrinsic effects such as inherent factors, race, gender and so on.Besides, it has been known that skin may change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stress such as UV, climate and life style.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 of these factors, many people would like to know their detailed skin characteristics and the way to care skin including manhood. So, we ha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skin characteristics and barrier function between some Asian regions in summer season. These researches had been studied by skin bioengineering tools. We studied about following parameters to investigate skin characteristics; skin hydration, skin surface lipid, skin surface pH, skin color, transepidermal water loss and skin sensitivity. The results represented various skin characteristics and barrier function according to the local regions. Moreover, these skin characteristics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seasonal variation. Most of parameters was changed to worse skin conditions in winter than summer. It means that skin characteristics could be different in compliance with the various conditions. It can be anticipated that skin properties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trinsic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Especially, these differences was deeper in the case of facial skin. We suggest that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pplicated to other research of dermatology and cosmetology.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27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