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9 638

Cited 0 times in

응급의료정보센터 운영개선 방안

Other Titles
 Recommendation for application of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 case by patient pre-hospital and inter-hospital transportation : 환자 이송 및 병원간 전원사례를 
Authors
 안승계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료법 윤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우리나라의 병원전 응급의료전달체계는 크게 행정자치부 소속 119 소방구급대와 보건복지부 소속의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로 구성되어 주축을 이루고 있다. 통신체계와 응급출동체계가 일원화되어 있는 여러 선진국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통신체계와 출동체계의 이원화로 연계가 미흡하고 제 기능과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환자의 의학적 상태에 따라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되는 것이 특히 중요하나 119 구급대와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간의 긴밀한 연계체계의 부족으로 응급의료기관 이나 의료기관의 선정은 구급대원의 판단이나 보호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으로 응급의료기관 이나 의료기관으로 이송된 자 중 이송 의료기관 선정이 부적절한 경우가 27~40%를 차지한다.효과적인 응급환자관리체계는 구급차에 응급환자 이송기록, 응급실진료기록, 통신기록이 하나의 체계로 연계되는 응급의료 정보체계의 구축이 중요하나 119 구급대와 1339 정보센터간의 긴밀한 연계체계의 부족으로 병원전 단계에서 환자이송을 책임지는 119 구급대에서는 환자 및 보호자의 비협조, 짧은 이송시간 및 거리, 응급처치 지식 부족 등 다양한 이유로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이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주요 이용자 및 사용자인 의료기관, 119 구급대에 응급의료관련 정보제공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도모하고 국민에게 양질의 응급의료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센터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2005년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운영실적을 근거로 119 구급대에서 정보센터를 통해 환자를 이송하는 경향이 타 정보센터 보다 2배에서 최고 8배정도 높은 부산응급의료정보센터와 다른 지역에 비해 의료기관이 열악함에도 병원간 환자의 전원이 활발한 의정부정보센터를 대상으로 정보제공 활용도를 측정하고, 이용자들이 스스로 정보가 필요해서 정보센터를 이용하도록 수립한 업무소개, 정보제공 사례 등을 분석하여 응급의료정보센터 운영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본 연구를 진행한 결과 병원전 및 병원단계에서 응급의료정보센터를 이용하는 비율은 낮은 편이나 부산정보센터의 정보제공 활성화를 위한 업무수행은 119 구급대원에게 환자에 적정한 선정병원 안내로 이송 중 병원을 찾아 배회하는 일이 없도록 의료기관의 시설, 장비, 인력현황 등을 파악하여 119 구급대원이 24시간 필요에 의해서 의료지도를 요청할 때 즉시 응답할 수 있는 정보를 보유하고 있었고, 의사의 의료지도 및 응급처치도 119 구급대원이 필요할 때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면 다시 전화하지 않고 다른 대안을 찾을 것을 감안하여 의사들에게 휴대폰을 지급하여 상담이 가능토록 하였고, 실시간 정확한 정보를 통해 사고 현장에서 구급대원이 환자에게 적합한 병원을 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강화하였으며, 응급의료정보센터에서 구급대원에게 응급처치 지도를 실시함으로써 이송 중 1339번으로 연락하면 부족한 응급처치지도를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을 119 구급대원에게 인식시킴으로서 정보센터의 병상정보 활용도를 높일 수 있었다.의정부 정보센터의 경우 경기 북부 권역응급의료센터 증축이후 응급의료정보센터의 기능인 병원전 응급의료체계의 중심 역할 수행과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진료지역 내 거점기관 및 최종 진료기관으로서의 역할 수행의 업무연계를 통해 지역 내 응급의료서비스체계 활성화 방안을 세웠고, 권역 내 지역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응급환자 이송처리 시스템을 경기 북부지역실정에 맞는 정책을 수립하여 응급의료서비스체계 구축함으로써 정보센터를 통한 병원간 전원의 이용률이 높아졌다.2006년 4월 한달간 119 구급대의 이송한 환자 64건을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환자이송 시 최초 병원결정은 119 구급대(26건)나 환자(6건) 보다는 정보센터(34건)에서 결정하는 확률이 53%로 높았으나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도 낮은 편이고 최초 결정한 병원과 다른 병원으로 이송한 경우가 39%인 것을 볼 때 의료기관의 실시간 정확한 정보가 절실히 필요하였다.의료기관간 전원은 정보센터에서 여러 의료기관과 수용여부를 협의함으로 의료진이 전원에 관계된 일상적인 업무에서 환자진료에 집중하게 할 수 있었다.따라서 정보센터의 병상정보 이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119 구급대와 응급의료정보센터간의 유기적인 업무체계 구축이 필요하고 단순한 병원안내 상담에서 벗어나 지역별로 정보센터가 갖는 전문화·특성화된 시스템 개발 및 이용자에 대한 정보제공의 신속성과 편리성을 인식시키고, 사고 현장에서 응급의료정보센터의 정보를 통해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합한 병원으로 이송토록 구급대원의 역할과 권한의 강화, 병상정보를 입력하는 의료기관의 수준별 표준지침을 개발하여 응급의료 관련 유관기관 간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협조 등에 의한 응급의료서비스체계를 구축하면 환자이송 및 병원간 전원시 이용자 스스로가 환자에 적합한 정보를 얻기 위해 정보센터를 이용하는 횟수가 높아질 것이며, 전국 12개 정보센터 상황실장회의 개최시부산 및 의정부정보센터에서 정보센터의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수립한 업무수행 계획 및 사례 등을 소개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정보센터의 지역 실정에 맞는 업무 계획을 수립토록 하여 지역에 따라 전문화▪특성화된 정보를 제공하면 병원 전 응급처치 및 이송과 병원간 전원시 환자 및 보호자, 구급대원이 필요에 의해 정보센터를 이용함으로서 정보이용률이 향상될 것이다.

[영문]Every country has a uniqu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EMSS), as well as a medical service system. In Korea, relationship or cooporation between layperson, fire-house rescue and hospital is weak, and lack of involvement of emergency doctor in prehospital emergency medical system is one of the main cause of the phenomenon. There is possibility of improving prehospital EMS by the role of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EMIC).If patient's status is emergent, appropriate emergency medical service is necessary. But, in Korea, the system in 119 rescue and 1339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is not agreement, so lay-person or 119 rescuer decide to transfer hospital. The rate about decision to inappropriate transfer hospital is 27~40%.In study, authors analysis use of transfer inforamtion about Bus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and Uijeongbu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and case that pre-hospital transportation and inter-hospital transportation.In conclusion, the rate that use of transfer information is very low and we conclude that misuse of medical source and dis-efficiency. The rate for use of transfer information about Busan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and Uijeongbu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is higher than other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so we decide to improvement that relationship 119 rescue with hospital and 1339 emergency medical information center. For promotion about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it is key point.
Files in This Item:
T00939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20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