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2 819

Cited 0 times in

한국인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와 SNAP-25 유전자 다형성의 연관성

Other Titles
 Association study for synaptosomal-associated protein 25 polymorphism and Korean patients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 
Authors
 최태규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연구목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는 가장 흔한 소아정신질환의 하나로 학동기 아동의 5-10%에서 발생한다. 비록 이 장애의 생물학적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쌍둥이연구와 가족연구의 결과에서 볼 때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가 여러 유전자와 관련된 유전적 요인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그 중 시냅스에서 세포막과 신경전달물질을 가지고 있는 소낭과의 융합을 매개하는 단백질인 SNAP-25(synaptosomal-associated protein of 25 kDa)의 유전자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의 원인 유전자 중 하나로 연구되고 있다. 이는 방사선으로 이 유전자를 파괴한 실험용 쥐인 coloboma에서 자발적 과잉행동이 유발되었으며 이것이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치료제인 덱스트로암페타민에 의하여 좋아진 사실에 근거한다. SNAP-25유전자 내부나 근처의 유전자 변이가 시냅스에서 세포막과 소낭의 융합을 매개하는 단백질의 기능에 영향을 미쳐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본 연구는 한국인에서 SNAP-25 유전자내에 이미 알려진 두개의 단일유전자다형성(MnlI, DdeI)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연구방법: 본 연구에는 95명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환자군과 102명의 정상 대조군이 참여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간의 SNAP-25유전자내의 두개의 단일유전자다형성(MnlI, DdeI)의 유전자형과 대립인자의 빈도를 비교하였다.결과: 환자군과 대조군간에 SNAP-25유전자내의 MnlI 단일유전자다형성의 유전자형(t/t, t/g, g/g)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8) t/t 유전자형과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간의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p=0.049). 그러나 또 하나의 단일유전자다형성인 DdeI 은 한국인에서 관찰되지 않았다.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인에서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에 SNAP-25유전자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군의 수가 적다는 것이며 향후에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Objectives :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the most common childhood psychiatric disorder, affecting 5-10% of school-age children. Although the biological basis of this disorder is unknown, twin and family studies provide strong evidence that ADHD has a genetic basis involving multiple genes.The gene for the synaptic vesicle docking fusion protein, synaptosomal-associated protein of 25 kDa (SNAP-25), has been implicated in the etiology of ADHD based on the mouse mutant strain coloboma. This neuron-irradiation induced mouse strain is hemizygous for the deletion of the SNAP-25 gene and displays spontaneous hyperactivity that is responsive to dextroamphetamine. DNA variations within or closely mapped to the SNAP-25 gene may alter the level of expression and hence may have an effect on the function of synaptic vesicle fusion and neurotransmitter release.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NAP-25 gene polymorphism and ADHD using two of the identified polymorphism(MnlI, DdeI) in Korean population.Methods : 95 ADHD patients and 102 normal contr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genotypes and allele frequency of the SNAP-25 polymorphism (MnlI, DdeI) between ADHD patients and control were comparedResults : In this study,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otype distribution of MnlI in SNAP-25 gene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p=0.008) and t/t genotype is related ADHD(p=0.049) but DdeI is not exist in Korean populationConclusion : This results suggest there may be a role of this polymorphism in ADHD. But the limit of this study is that the number of cases were small, therefore it would be premature to make any conclusions from this study concerning the role of SNAP-25 in ADHD. Further work is needed to assertain the role of SNAP-25 in ADHD.
Files in This Item:
T00923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304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