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3 911

Cited 0 times in

노인의학전문의 제도에 대한 인식도

Other Titles
 (A) study on cognition for geriatrician 
Authors
 이영진 
Issue Date
2006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이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노인질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효과적이고 전문적으로 치료할 전문의료인력 중 의사인력에 대한 질적 향상 및 전문화를 기할 수 있는 방법으로 노인의학전문의 제도에 대한 의사들의 인식도를 알아보고 노인의학전문의 제도의 도입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자였다. 또한 외국의 노인의료시스템과 노인의학교육 및 노인의료전문인력 현황을 문헌고찰을 통해 검토하여 현재 우리나라의 현실과 비교해 보았다. 그리고 노인의학전문의에 대한 의료인의 인식도 실태조사를 위해 대한노인병학회와 대한임상노인의학회의 회원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외국의 노인의료시스템과 현황을 검토한 결과 미국을 제외한 프랑스, 이태리, 네덜란드, 스페인, 일본, 영국 등의 나라에서 국가보건시스템으로 노인의료를 담당하며 총체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영국은 국민보건서비스(NHS)에 의해 병원 및 의료인력을 국영화 하여 국가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의료에 있어서는 총체적인 무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일본에서는 개호보험을 미국에서는 Medicare Program으로 노인의료보장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었다.둘째, 외국의 노인의료 전문인력 양성에 있어서 노인의학 교육은 대학에서 노인의학전문과를 개설해 전문가를 양성하는 방법과 내과나 가정의학과 등의 전문의 자격자 중 추가의 수련 및 시험을 통해서 노인의학전문의를 배출하고 있었다. 이중 영국은 1940년대부터 노인의학 전문과를 개설하여 운영해 오고 있었으며 네덜란드는 임상노인의학과 장기요양기관전문가로 이분되어 양성되고 있었다. 노인의학전문의 도입 배경을 살펴보면 각국의 의료계나 정부에서 노인의학의 중요성 인지 정도에 따라 전문가 양성 제도 및 도입 시기 등에 차이가 있었다.셋째, 의료인의 인식도 실태조사에 대한 결과로는 조사대상자의 특성 중 근무지는 2/3차 의료기관(46%), 1차 의료기관(37.3%), 그 외 노인전문병원/요양소(7.4%), 보건소(6.5%), 기타(2.7%)의 순이었고, 전공별로는 내과, 가정의학과가 단일과로는 가장 많았으며, 외과계열, 재활의학과, 정신과 등의 순이었다.보험급여에 대한 결과는 현재 보험수가에 불만족이 70%에 이르렀으며, 노인의학전문의 제도에 대한 설문 결과로는 필요성 인식이 대다수였으나 신경과에서는 반대 의견이 62.1%로 조사되었다.노인의학전문의 제도의 장애요인으로는 의료인 내부의 인식부족이라는 의견이 높았으며, 자격취득 방법에서는 내과, 재활의학과, 외과계열에서는 각 전공의 전문의 취득 후 연수/시험을 거쳐 취득하는 방법을, 가정의학과에서는 전문의 취득 후 추가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의견, 일반의는 별도 전문과목을 개설해야 한다는 의견으로 분석되었다. 노인의학전문의의 역할에 대한 분석은 일차의료담당자, 교육/자문의사 역할, 장기요양 관리담당자 순이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근간으로 할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첫째, 노인의학의 전문성과 노인의학전문의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이다. 모든 의학 분야에 노인의학 개념의 확산은 기본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노인병의 임상적 특성 및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들을 함께 고려하여 노인환자를 치료하고 관리해야한다는 인식을 전 의료계가 공감하고 이에 대응할 노인의학전문의의 필요성을 인지해야 한다.둘째, 노인의학전문의의 역할 정립이다. 노인의학전문의는 노인의료팀의 일원이면서 리더의 위치를 가지고 조정자 역할을 해야 한다. 또한 급성기진료 및 노인평가팀을 담당하면서, 교육수련을 책임지고, 지역사회에서는 장기요양기의 노인 치료를 기타 인력들과 함께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보인다.셋째, 노인의학전문의의 양성을 위한 제도적 마련이다.노인의학전문의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의 자격부여의 주체선정, 수련기관, 자격 부여 방법 등의 제도적 마련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우리나라의 노인의학전문의제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이루어진 해외 각국의 노인의료시스템 및 노인의학교육현황 및 노인의학전문의 제도 비교 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인의 인식도 실태분석을 좀 더 확대하여 정부 차원에서 각 노인의학 관련 학회, 의과대학 관계자 등 의료계의 좀 더 폭 넓은 의견 수렴과 제도적 고찰의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이러한 논의들이 구체화 될 것으로 전망 된다.

[영문]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propose a plan to introduce the geriatrician system as a means of improving the quality and specialty of medical practitioners who would treat geriatric disease patients who are rapidly increasing in number.For this purpose, we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geriatric health care systems, geriatric medical educa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geriatric medical specialists in foreign countries,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in Korea. In addition, to investigate medical personnel?s perception on geriatrician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the members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and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Geriatrics and analyzed th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current state of geriatric health care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the government runs a national health care system in charge of geriatric health care and providing comprehensive medical services to elders in countries such as France, Italy, the Netherlands, Spain, Japan and the U.K. with the exception of the U.S. In particularly, the U.K. nationalized hospitals and medical personnel under National Health Service (NHS) and the government provide comprehensive free medical services through the system. Japan is running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nd the U.S. is running Medicare Program as a geriatric medical security system.Second, as for geriatric specialist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geriatricians are produced through geriatric medical education at the department of geriatric medicine offered by universities or through applying additional training or examination to medical specialists in the internal medicine or home medicine. The U.K. has been operating the department of geriatric medicine since the 1940s, and the Netherlands are producing geriatrician and long?]term care institution specialists. As for the background of introducing the geriatrician system,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geriatrician education systems, time of introduction, etc. according to how much the importance of geriatric medicine is recognized by the medical circle or the government.Third, in the survey of medical personnel?s perception on geriatricians, 46.1% of the subjects were working at secondary/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37.3% at primary ones, and the others in order of geriatric hospitals/nursing homes, public health centers, etc. In addition, the largest part of them were working at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home medicine and the other in order of the department of surgery, rehabilitation medicine, psychiatry, etc.With regard to insurance payment, 70% of the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current insurance medical charges and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the geriatrician system, but 62.1% of those working at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pposed the system.With regard to obstacles to the geriatrician system, many of the respondents pointed out low awareness among medical personnel. As for certificate acquisition method, those at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rehabilitation medicine and surgery suggested training/examination after acquiring the license of medical specialist, those at the department of home medicine suggested additional course after acquiring the license of medical specialist, and general practitioners mentioned the offering of separate special subjects.In the analysis of geriatricians? roles, respondents understood their roles as the primary medical service, education/consulting and long?]term care in their order.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First, we need to recognize the specialty of geriatric medicine and the necessity of geriatricians.The concept of geriatric medicine should be spread to all medical areas. All medical areas should know that old patients should be treated and managed in consideration of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geriatric diseases and relevant mental,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and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geriatrician system.Second, the roles of geriatricians should be established. A geriatrician is a member of a geriatric medical team but at the same time he/she should play the role of a coordinator as a leader. In addition, desirable roles of geriatricians include acute phase diagnosis, geriatric evaluation, education and training, and long?]term care of elders with other medical personnel.Third, there should be a system for producing geriatricians.In order to geriatricians, institutional base should be laid by including geriatric medicine in principal selection for qualification, training organ, method of qualification, etc.In order to introduce the geriatric system, we need to make more extensive analysis of medical personnel?s perception on the system based on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on geriatric medical systems, geriatric medical education and geriatrician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to collect opinions widely from associations related to geriatric medicine and personnel of medical schools, and to review relevant systems in governmental dimension. These discussions are expected to be made in the near future.
Files in This Item:
T00914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94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