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13 836

Cited 0 times in

죽음에 대한 청소년의 태도

Other Titles
 (The) attitude of death among adolescents 
Authors
 김현주 
Issue Date
2006
Description
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청소년을 위한 죽음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되었다.연구대상은 연구자가 편의추출한 고등학교 3학년을 제외한 전학년 대상으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를 수락한 47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10월 24일부터 10월 29일까지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자가보고질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가 직접 기록하게 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2문항, 죽음에 대한 태도 24문항, 기타(장묘문화의식, 죽음교육의 필요성) 2문항의 총 38문항으로 구성되었다.수집된 자료는 SAS system for window V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을 이용하였고, 죽음에 대한 태도는 평균, 표준편차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죽음에 대한 태도의 관계는 ANOVA와 Duncan grouping,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1) 청소년의 죽음에 대한 태도 점수는 ‘자살에 대한 태도’ 2.50(±0.57)점, ‘죽음에 대한 불안도’ 3.49(±0.74)점,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 3.19(±0.67)점으로서, 전반적으로 자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죽음에 대해 불안도가 높았으며, 죽음에 대한 약간 수용적인 태도를 보였다.2) 장묘문화의식 및 죽음교육의 필요성을 분석한 결과, 장묘문화에 대해서는 41.81%가 매장보다 화장을 더 선호하였고, 죽음교육 필요성에 대해 54.41%로 전반적으로 죽음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3) 죽음에 대한 불안감은 ‘여자’ 3.60(±0.74)점으로 ‘남자’ 3.42(±0.82)점보다가 높았다. 또한, 종교적인 측면에서는 ‘천주교’ 2.39(±0.53)점, ‘기독교’ 2.44(±0.54)점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자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성격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를 보면, ‘내성적’ 3.59(±0.82)점, ‘중간’ 3.42(±0.68)점, ‘외향적’ 3.67(±0.74)점으로 내성적이거나 외향적이지 않고 중간 정도의 성격이 죽음에 대한 불안 정도가 낮았다.4) 건강상태 인지에 따른 자살에 대한 태도는 ‘좋음’ 2.47(±0.57)점, ‘보통’ 2.59(±0.57)점, ‘나쁨’ 2.64(±0.54)점으로 인지된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자살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5) 생활만족에 따른 자살에 대한 태도는 ‘만족’ 2.38(±0.55)점, ‘보통’ 2.60(±0.51)점, ‘불만족’ 2.84(±0.61)점으로 생활에 만족하지 못할수록 자살에 대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태도를 보였다.6) 죽음 생각 경험 유무와 죽음에 대한 태도를 보면, ‘죽음을 자주 생각한 학생’은 2.84(±0.55)점으로 ‘전혀 죽음을 생각해 본 적이 없는 학생’ 2.29(±0.49)점에 비해 자살에 대해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죽음에 대한 수용태도에 있어서도 ‘죽음을 자주 생각한 학생’은 3.35(±0.69)점으로 ‘전혀 죽음을 생각해 본 적이 없는 학생’ 3.04(±0.57)점에 비해 죽음에 대해 좀 더 수용적인 태도를 보였다.7) 죽음을 생각해 본 이유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를 보면, ‘진로(진학) 문제’ 2.72(±0.59)점, ‘친구, 이성문제’ 2.72(±0.64)점으로 죽음을 생각해 본 학생들이 자살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8) 따돌림 받은 경험이 있는 학생이 2.68(±0.82)점으로 경험이 없는 학생 2.48(±0.57)점보다 자살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청소년은 일반적인 특성의 차이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죽음에 대한 태도가 명확하지 않고 양가적인 감정을 지니고 있으며, 진로문제, 생활에 대한 불만족 등은 자살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향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 시기에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죽음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죽음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죽음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수행이 시급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영문]This was a descriptive study to access the necessity of death education and provide basic research programs for healthy attitudes of death. 476 students of middle and high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e self-report survey.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Duncan grouping and t-test.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Attitude of the suicide'' 2.50(±0.57), ''Anxiety of the death'' 3.49(±0.74), ''Receptive attitude of death'' 3.19(±0.67). (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attitude of the suicide, there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the worse thinking of health status(F=1.96, P=.04), the lower life satisfaction(F=19.90, P<.0001), the more experience of death thinking(F=26.60, P<.0001), the more problem of the study and schoolmate the pest to their classmates(t=2.77, P=.0059) were the positive to suicide.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anxiety of the death, there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woman(t=2.69, P=.0074), introvert or extrovert students(F=5.01, P=.007) were the higher anxiety toward death.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receptive attitude of death, there seem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 the more experience of death thinking was the more receptive attitude of death(F=7.56, P=.0006).Finding from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background and attitudes of death seem to be differences, so death education for the adolescents should be urgently needed.
Files in This Item:
T00903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83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