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8 1207

Cited 0 times in

정중신경과 원엎침근 및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국소해부학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원석-
dc.date.accessioned2015-11-21T06:41:46Z-
dc.date.available2015-11-21T06:41:4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708-
dc.description의과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정중신경이 주위의 구조에 의해 눌릴 때 원엎침근의 통증과 정중신경이 분포하는 근육의 힘이 약해지는 원엎침근증후군이 생긴다. 정중신경을 눌러 원엎침근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는 구조로 원엎침근과 얕은손가락굽힘근이 제시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원엎침근증후군이 생길 수 있는 부위에서 신경과 근육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밝히는데 있다.재료로는 한국 성인 시신 79구의 148쪽을 사용하였다. 원엎침근을 계측하고 정중신경과 접하는 원엎침근의 구성성분을 관찰한 뒤 정중신경과 원엎침근의 위치관계를 분류하였다. 정중신경의 근육가지가 일어나는 위치를 양쪽 위관절융기를 잇는 선에서 수직거리로 측정하였다.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근육힘줄활의 위치와 구성성분, 노갈래의 형태를 분류하였고 얕은손가락굽힘근의 뼈사이막 갈래와 긴엄지굽힘근, 깊은손가락굽힘근의 덧갈래의 빈도를 조사하였다.원엎침근은 양쪽 위관절융기를 잇는 선으로부터 평균 61.3 mm되는 곳에서 위팔갈래와 자갈래가 만나 평균 141.5 mm되는 곳에서 노뼈의 가쪽면에 닿았다. 정중신경과 접하는 자갈래의 자쪽면은 근육으로만 이루어진 경우가 8.4%, 근육과 힘줄이 섞여있는 경우가 20.8%, 힘줄로만 이루어진 경우가 70.8%였다. 정중신경과 접하는 위팔갈래의 노쪽면은 근육으로만 이루어진 경우가 56.0%, 근육과 힘줄이 섞여있는 경우가 30.0%, 힘줄로만 이루어진 경우가 14.0%였다. 정중신경은 양쪽 위관절융기를 잇는 선으로부터 평균 26.5 mm되는 곳에서 원엎침근의 위팔갈래에 덮이게 되고 평균 54.2 mm되는 곳에서 원엎침근의 두 갈래 사이로 들어가 평균 25.5 mm(범위 20.0 mm - 36.9 mm)를 달리고 빠져나왔다. 정중신경이 원엎침근의 두 갈래 사이로 지나가는 경우는 93.9%, 갈래의 아래로 지나가는 경우는 2.7%, 위팔갈래를 뚫고 지나가는 경우는 2.0%, 자갈래를 뚫고 지나가는 경우는 0.7%였다. 정중신경에서 위팔갈래로 가는 가지가 일어나는 위치는 양쪽 위관절융기를 잇는 선으로부터 평균 16.8 mm였다. 자갈래로 가는 가지가 일어나는 위치는 양쪽 위관절융기를 잇는 선으로부터 평균 26.8 mm였고 노쪽손목굽힘근과 긴손바닥근에 분포하는 신경이 일어나는 위치는 각각 평균 43.8 mm, 30.2 mm였다. 앞뼈사이신경은 양쪽 위관절융기를 잇는 선으로부터 평균 56.8 mm에서 일어났으며 16.1%에서 원엎침근의 자갈래와 위팔갈래 사이로 들어가기 전에 일어났다.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근육힘줄활은 양쪽 위관절융기를 잇는 선으로부터 평균 80.9 mm떨어져 있었고 근육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30.6%, 힘줄로 이루어진 경우가 69.4%였다. 얕은손가락굽힘근의 노갈래가 원엎침근이 노뼈에 닿는 먼쪽부위에서 이는 경우가 29.4%, 그보다 먼쪽에서 이는 경우가 55.9%, 그보다 몸쪽에서 이는 경우가 14.7%였다. 긴엄지굽힘근의 덧갈래는 60.0%에서 관찰되었다. 깊은손가락굽힘근의 덧갈래는 14.0%에서 관찰되었다.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팔오금부위에서 정중신경의 죄임증후군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구조의 국소해부학적 변이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영문]The pronator teres syndrome occurs when the median nerve is compressed by the adjacent structures in the proximal forearm. The pronator teres muscle and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 have been postulated to contribute to this syndrom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clinically useful data by clarifying the topograp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n nerve, the pronator teres muscle and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 in 79 Korean adult cadavers (148 sides). The composition of the two heads of the pronator teres muscle was observed. 91.6% of the pronator muscles had a fibrous band in the ulnar side of the ulnar head. 44.0% of the specimens had a fibrous band in the radial aspects of its humeral head. The median nerve was completely covered by the pronator muscle within 26.5 mm from the Hueter''s line(line through the epicondyles of the humerus) and entered between the two heads of the pronator muscle at 54.2 mm from the line and exited it after running 25.5 mm. The relationship of the median nerve to the pronator teres muscle as it pass through the muscle was classified. The median nerve ran between the two heads of the pronator teres in 93.9% and it ran deep to the two heads in 2.7%. It pierced the humeral head in 2.0% and ulnar head in 0.7%. The distance between the origins of the median nerve branches and Hueter''s line was measured. The branch to the humeral head and ulnar head of the pronator teres muscle originated at 16.8 mm and 26.8 mm from the Hueter''s line, respectively. The branch to the flexor carpi radialis muscle and the palmaris longus muscle was divided at 43.8 mm and 30.2 mm from the Hueter''s line. The anterior interosseous nerve was branched at 56.8 mm from the Hueter''s line. The musculotendinous arch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 was located at 80.9 mm from the Hueter''s line. The radial head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 originated from the distal point where the pronator teres inserted to the radius in 29.4%, distal from that point in 55.9%, and proximal to that point in 14.7%. The accessory head of the flexor policis longus muscle existed in 60.0% and the accessory head of the flexor digitorum profundus muscle was found in 14.0%.-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정중신경과 원엎침근 및 얕은손가락굽힘근의 국소해부학-
dc.title.alternativeTopographic anatomy of the median nerve and the pronator teres and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muscle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Jung, Won Su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Anatomy (해부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