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2 1279

Cited 0 times in

뇌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들에 있어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의 임상적 유용성

Other Titles
 Clinical usefulness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in patient with risk factors of cerebrovascular disease 
Authors
 정성삼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1. 연구목적 : 뇌졸중의 원인으로 간주되는 뇌혈관의 동맥경화와 뇌지주막하출혈의 주요 원인인 비파열성 뇌동맥류를 조기진단하는데 있어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의 임상적 가치를 평가하고, 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들이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상에서의 병소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고자 하였다.2. 대상 및 방법2001년 5월 1일부터 2004년 5월 1일까지 3년간 연세의료원 영동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외래에서 뇌자기공명영상 및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을 받은 212례의 환자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 진단 전 증상 등과 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뇌자기공명영상 및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상에서 보여지는 병소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병소는 비파열성 뇌동맥류와 뇌혈관의 협착이다. 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는 고혈압의 과거력, 허혈성 심장질환의 과거력, 당뇨의 과거력, 뇌혈관질환의 가족력, HbA1c, 총 콜레스테롤 수치, 공복시 triglyceride, HDL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흡연, 헤마토크릿, 심전도상의 좌심실비대 등을 조사하였다.3. 결과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의 결과 뇌혈관의 협착은 49례(23.1%)의 환자에서 발견되었고 뇌자기공명촬영에서는 뇌경색이 발견된 42례 중 17례(40%)에서는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상 정상 소견을 보였다. 뇌자기공명촬영 결과 정상소견을 보인 170례 중 24례에서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상 혈관의 협착이 관찰되어, 자기공명촬영만으로는 알지 못했던 추가적인 정보를 얻었다.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에서 혈관의 협착이나 폐색이 관찰된 49례 중 25례(51%)에서는 혈관이상이 관찰된 부위가 뇌자기공명촬영에서의 뇌경색부위와 일치되는 소견이 관찰되었다.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의 결과 10례(4.7%)에서 비파열성 뇌동맥류가 발견되었고 뇌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그 중 9례(90%)에서 확진이 가능하였다.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에서 뇌혈관의 협착이 발견된 환자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고혈압의 유병률, HbA1c와 LDL 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높았고, 비파열성 뇌동맥류의 위험인자로는 성별(여자)과 고혈압으로 나타났다.4. 결론뇌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진 환자에서 초기에 뇌자기공명영상과 뇌자기공명혈관조영술을 동시에 시행하여 신속한 진단과 조기치료를 함으로써 사망률과 유병률을 낮출 수 있다. 여러 가지 제약으로 자기공명뇌혈관조영술이 고식적인 뇌혈관조영술을 전적으로 대체하기 어려우나 위험성이 있는 침습적인 검사나 시술에 대한 일차적인 예검법으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1.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of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A) in detecting cerebrovascular disease including unruptured aneurysm and atherosclerotic lesions of the intracranial arterie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erebrovascular lesions detected on MRA and vascular risk factors in stroke-free population.2. MethodWe retrospectively assessed 212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Neurosurgery of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nd underwent both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and three-dimensional, time-of-flight MRA of the head between May 2001 and May 2004. We evaluated stenotic or occlusive lesions and unruptured aneurysm of the intracranial arteries using MRA. Age, sex, history of hypertension, history of schemic heart disease, family history of cerebrovascular disease, HbA1c, total cholesterol, fasting triglyceride, high density lipoprotein, low density lipoprotein, hematocrit, smoking and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on ECG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3. Results49 patients (23.1%) had stenotic or occlusive lesions of the intracranial arteries. The distribution of stenotic or occlusive vascular lesions were correlated with the location of infarction in 25 of the 49 positive cases(51%). MRA provided additional information not obtained from the MRI in 24 cases. Unruptured aneurysms were found in 10 patients (4.7%) and conventional angiography confirmed the 9 aneurysms among them.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age, hypertension, LDL hypercholesterolemia and HbA1c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therosclerotic lesions of the intracranial arteri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ignificant and independent predictors for atherosclerotic lesions of the intracranial arteries were HbA1c, LDL hypercholesterolemia and hypertension, and those for unruptured aneurysm were female sex and hypertension.4. Conclusion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atherosclerotic lesion of the intracranial arteries detected in MRA was related to LDL hypercholesterolemia, hypertension and HbA1c while unruptured aneurysm wa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nd female sex. MRA is clinically useful method for screening cerebrovascular disease in patients with risk factors and selecting high-yield patients for conventional angiography.
Files in This Item:
T00889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eurosurgery (신경외과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Jung, Sung Sam(정성삼)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70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