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7 434

Cited 0 times in

돼지 우심실 조직편에서 cryoinjury가 심실빈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cryoinjury on ventricular tachycardia in pig right ventric : 광학적 지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한 분석 
Authors
 정보영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장애물에 의한 심실빈맥의 파면 변화에 대하여는 일부 연구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모두 균일한 장애물을 이용하여서 임상에서 주로 관찰되는 심근경색 후 경색부와 경색 주변부를 가지는 비균일한 장애물에 의한 파면의 변화를 설명하는데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심실세동을 유발시킨 돼지의 우심실 관류 조직에 동결손상(croinjury)을 이용하여 만든 인공적인 장애물이 첫째, 전기전도의 완전 장애를 보이는 손상부와 부분적인 장애을 보이는 주변부를 가진 비균일한 장애물로서 작용할 수 있는지, 둘째, 심실빈맥의 파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세째, 파면을 안정화 시켜서 심실세동을 종료 혹은 심실빈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지를 광학적 지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전체 6마리 돼지의 심실세동을 유발시킨 우심실 관류 조직의 심외막면(epicardial side)에 12mm 크기의 동결손상를 30초 동안 준 후 1분, 3분, 5분, 10분, 그리고 특이한 파면이 관찰될 때 광학적 지도를 기록하여 이를 분석하였다.총 35회의 동결손상 중 32회를 분석하였다. 모든 동결손상에서 1분째 손상부와 주변부에 모두 전기적 현상이 없었으며, 3분과 5분째는 손상부에 전기적 현상은 없으나 주변부의 전기적 현상이 부분적으로 회복되는 비균일한 장애물이 만들어짐을 확인하였다. 광학 형광 전위파 주기는 기저치 135.9±23.6 msec, 1분째 176.2±79.3 msec, 3분째 187.6±97.9 msec, 5분째 185.5±19.2 msec, 그리고 10분째는 152.1±64.1 msec 로 1분째, 3분째와 5분째에 기처치 보다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01, p=0.006, p=0.016). 동결손상 후 리듬은 9회 (28.0%)에서는 심실빈맥으로 전환되었고, 2회 (6.3%)에서는 세동이 종료되었다. 이러한 현상은 1회를 제외하고 10회 모두 5분 이내에서 관찰되었다.결론적으로, 심실세동이 유발된 조직에서 동결손상에 의한 비균일한 인공적 장애물은 심실세동을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보였으며 일부에서는 빈맥을 종료시켰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에서 파면들의 장애물 주위로의 부착 현상이나 회전현상이 관여하지는 않았으며 오히려 동결손상에 의한 전기현상이 감소되는 면적의 정도와 연관이 있었다.



[영문]The effects of artificial homogenous obstacles on the dynamics of ventricular fibrillation have been extensively investigat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influence of the heterogenous obstacles on the dynamics of wavefronts and to determine whether obstacles can convert ventricular fibrillation to ventricular tachycardia by stabilizing wavefronts in fibrillating right ventricular tissues of pigs using an optical mapping system.A cryoinjury with diameter of 12 mm was created on epicardium of perfused right ventricles (RV) of pigs (n=6) and optical mapping images were taken at baseline, 1, 3, 5, and 10 minutes after the cryoinjury. After the whole RV tissue resumed electrical activity, repeated cryoinjury was created at the previous injury sites until the tissue is viable.In total 35 cryoinjuries, images of 32 cryoinjuries were analyzed. The optical action potential was not recovered in both cryoinjury and peri-injury sites at 1 minute, partially recovered in peri-injury sites at 3 and 5 minutes. Cycle length of tachycardia was 135.9±23.6 msec at baseline, 176.2±79.3 msec at 1 minute, 187.6±97.9 msec at 3 minutes, 185.5±19.2 msec at 5 minutes, and 152.1±64.1 msec at 10 minutes. The cycle length of 1, 3, and 5 minutes after cryoinjury was significantly prolonged than that of baseline (p=0.001, p=0.006, p=0.016). After cryoinjury, ventricular fibrillation changed to tachycardia in 9 (28.0%), and terminated in 2 (6.3%). These changes were observed mainly within 5 minutes after cryoinjury.The cryoinjury had an anti-fibrillatory effect in tissues with ventricular fibrillation. However, this effect was related with decreasing electrically excitable area rather than stabilizing wavefronts.
Files in This Item:
T00889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Internal Medicine (내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Joung, Bo Young(정보영)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9036-7225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70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