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296

Cited 0 times in

청소년 금연프로그램의 흡연량 감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혜진-
dc.date.accessioned2015-11-21T06:39:37Z-
dc.date.available2015-11-21T06:39:3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628-
dc.description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흡연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선행 금연 중재프로그램의 흡연량 감소에 관한 메타분석을 통하여 흡연청소년을 위한 효과적인 금연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 및 지역사회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분석 대상 논문은 흡연청소년의 흡연율 감소를 목적으로 2005년 2월까지 국내에서 연구되어진 실험연구논문 중 대조군을 포함하면서 흡연량을 결과변수로 평가한 학위논문 19편, 학회지 1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문헌검색을 통해 수집된 연구 논문은 대상논문의 일반적 특성, 금연프로그램의 내용, 흡연량 감소의 효과크기에 대해 SAS 8.0 version과 Metawin 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금연중재 연구들의 일반적 특성- 국내 흡연청소년 대상 금연프로그램 연구는 2000년대에 활발히 이루어졌으나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이루어진 연구간의 효과크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긍정적인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t=1.108, p=0.2824). 출판유형 별로는 석사학위논문이 대다수를 이루었으며 효과크기의 경우 박사학위논문의 흡연량 감소효과크기와 석사학위논문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t=-3.018, p=0.0078).- 대상자 특성의 경우 고등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효과크기의 경우도 고등학생 대상 연구가 다소 높았으나 학교급간 흡연량감소 효과크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96, p=0.1614). 흡연량 측정시 생리적 도구사용 유무에 따른 흡연량감소 효과크기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749, p=0.4638).2) 금연프로그램 내용 분석- 금연프로그램을 내용에 따라 지식교육중심연구와 행위교육중심연구, 상담중심연구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행위교육중심연구와 상담중심연구의 효과크기가 다소 컸으나 프로그램 내용에 따른 흡연량 감소의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01, p=0.3861).- 청소년 금연프로그램의 평균 중재회수는 7.3회, 평균중재 제공기간은 20.47일, 1회 중재제공시간은 평균 128분 이었으며 프로그램 중재회수는 다양하게 분포되었으나 중재회수와 흡연량감소 효과크기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0.74, p=0.4930). 중재제공기간의 경우 1주 미만 실시된 연구의 흡연량 감소 효과크기가 크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F=0.20, p=0.8241). 1회 중재시간의 경우 90분 이상 실시한 연구 9편중 8편이 흡연량감소 효과크기가 1이상으로 나타났으나 1회 중재시간에 따른 흡연량감소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0.26, p=0.7746).- 금연프로그램의 이론적 기틀의 경우 인지행동주의 이론에 근거하나 연구가 총 9편(45%)으로 가장 많았으며, 병합이론을 이용한 연구 모두가 1이상의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나 이론적 기틀별 흡연량감소 효과크기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0.96, p=0.4334).3) 대상논문의 흡연량감소 병합 효과크기대상연구 20편 금연프로그램으로 일일 흡연량이 평균 4.7개피 감소되었으며, 전체 대상논문의 흡연량 감소에 대한 병합된 효과크기는 1.2174(U=40.2349, p=0.001), 표준오차 0.0805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본 연구결과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흡연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금연프로그램이 남학생, 학교급별로는 고등학생에게 시행될 때 더욱 효과적이며, 흡연량을 종속변수로 할 경우 생리적도구를 함께 측정하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프로그램이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단순지식 이외에 행위나 적극적인 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흡연량 감소에 효과적이며 2년 이상의 장기간 동안 시행되어야 효과의 유지 정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This dissertation aims to suggest the effective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and put the result to practical use for school and community by the meta analysis of the preceding smoking cessation studies. The sample studies for this analysis includes 20 studies having the control group and the result of measuring daily smoking amount. These target studies were analyzed by SAS ver 8.0 and Metawin ver 2.0 in terms of general feature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 the content of the program and the smoking reduction effect size.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1) General features of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 Adolescent smoking cessation programs were developed in 1990s and thrived in 2000s. But the effect sizes are not different from 1990s and 2000s(t=1.108, p=0.2824). In the pressed type, master degree studies are more than any other pressed types. However, the effect sizes of doctor's studies are bigger than master's studies. In addition, there is no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 size(F=0.78, p=0.5525) and the study design type(t=0.7849, p=0.4638) in terms of the effect sizes.- In sample characters, the dominant study is the one for high schoolers and the effect size of that is bigger than those of any other studies for non-high schoolers. However,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grades. The studies for male students are more popular than that for female, but there'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sex. Furthermore,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using the physical instrument or not(t=0.749, p=0.4638).2) Content analysis of smoking cessation programSmoking cessation program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program content: knowledge-centered, activity-centered, counsel-centered. The effect sizes of activity-centered and counsel-centered type are bigger than that of knowledge-centered type,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3 types.20 studies run the intervention average 7.3 times for average 20.47 days. The average intervention time is 128 minute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numbers of intervention(F=0.74, p=0.4930), intervention duration(F=0.20, p=0.8241) and intervention time(F=0.26, p=0.7746).In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program, the majority of the theories is the theory based on cognitive-behaviorism and it has high effect size(1<ES'>2). There are, however,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theoretical frameworks.3) Cumulative effect size of smoking amount reductionAfter intervention, average 4.7 smoking states were lowered in 20 studies. The total cumulative effect size is 1.2174(U=40.2349, p=0.001) and SD is 0.0805.In conclusion, this result doesn't have statistical significance but shows that student adolescents' smoking cessation programs are more effective when the target students are ma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also shows that activity-centered content and physical instrument can work more effectively. Moreover, the program with a long time duration of more than 2 years is more effective to reduce the smoking amou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청소년 금연프로그램의 흡연량 감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dc.title.alternative(The) meta analysis of the effect of cutting down on smoking in the smoking cessation programs for adolescent smoker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62759-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ang, Hye Ji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