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8 556

Cited 0 times in

일부 지역 초등학생의 요중 수은 농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in schoolchildren 
Authors
 안승철 
Issue Date
2005
Description
환경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저농도 중금속의 지속적인 노출은 생체 내에서 축적이 되고 이로 인해서 여러 건강 영향이 나타나게 된다. 중금속 오염으로 인한 인체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는 주로 작업환경을 대상으로 생물학적 모니터링을 하고 있으며, 주요 모니터링 항목으로서는 일반적으로 혈액 및 요, 모발 등에서의 농도로서 폭로정도를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요중 수은 농도 분석과 설문조사를 통해 파악된 영향요인들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요중 수은 농도와 어떤 요인들이 관련이 있고, 이러한 영향요인들이 요중 수은 농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현지조사는 2003년 10월 25일부터 11월 22일까지 이루어 졌으며, 총 27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채뇨 및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시료의 채취는 조사 당일 일시뇨를 채취하였으며, 설문조사로는 요중 수은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로 성별, 연령, 신장, 체중, 간접흡연 여부, 식이습관 등을 조사하였다. 요중 수은의 측정은 수소화물 발생장치(hydride vapor generator, Shimadzu HVG-1, Japan)가 부착된 원자흡광광도계(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Shimadzu AAS-6800, Japan)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요중 수은 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고려된 영향변수는 연령, 신장, 체중, 식품섭취 등이었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요중 수은 농도는 대상자 전체 평균이 2.88㎍/g-creatinine이었으며, 전체적으로 분포의 꼬리부분이 오른쪽으로 치우친 우향왜곡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이 일반적으로 비직업성 폭로자의 요중 수은 농도로 알려진 5㎍/g-creatinine 미만으로 나타났으나, 일부에서 10㎍/g-creatinine을 초과하는 농도수준을 보였다.연구 대상자의 요중 수은 농도와 영향요인간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요중 수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어패류 섭취빈도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으며(p<0.05), 요중 수은의 총 분산에 대해 2.4%가 설명되었다.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선정된 영향요인(어패류 섭취빈도) 보정 후의 요중 수은 농도는 남여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집단간의 사후분석 결과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남학생(1.62㎍/g-creatinine)에 비해 어촌지역(2.52㎍/g-creatinine)에 거주하는 남학생의 요중 수은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어패류 섭취 빈도 외에도 연구대상자들의 수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본 연구에서는 조사되지 않은 다른 영향요인에 대한 다각적인 접근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본 연구 결과, 어패류 섭취 빈도가 요중 수은 농도에 관련성 있는 인자로 나타났으며, 인구학적 요인, 사회ㆍ경제적 요인, 거주환경, 생활 습관 및 건강상태, 식이습관 등에 따라 요중 수은 농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서 환경오염으로 인한 중금속 노출 및 영향을 비교평가하기 위한 연구에서는 이들 영향요인을 포함한 잠재적인 요인들에 대한 보다 세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Continuous exposure to low levels of heavy metals may result in bioaccumulation and adverse health effect in human. In several countries are doing biological monitoring to prevent heavy metals poisoning at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usually it is evaluating by concentration of blood, urine and hair. This study investigates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and the influence factor of urinary mercury from schoolchildren, and those factor examine doing how much influence in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Urine sampling and questionnaire survey to 272 schoolchildren were taken October and November, 2003. Urine sample was spot urine, and construction of questionnaire was about sex, age, height, weight, passive smoking, dietary intake etc. Urinary mercury analysis used AAS(Shimadzu AAS-6800, Japan) attached by hydride vapor generator(Shimadzu HVG-1, Japan) for measuring. The variables, such as age, height, weight, dietary intake were considered as a potential influence factor of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were formed with the SPSS software package.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was total average 2.88㎍/g-ct, and it''s distribution was skewed to the right. Most children were showed below 5㎍/g-ct, but some children were showed over 10㎍/g-ct.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and influence factor, it was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regression coefficient 0.225) for fish intake frequency. And the variation of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is explained 2.4% by fish intake frequency.Adjusted urinary mercury concentration was observ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But fishing village''s boys(2.52㎍/g-ct) were significantly high level than farming village''s boy(1.62㎍/g-ct).In those results, in environmental epidemiology study estimating and influence of heavy metal element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potential determinants including these should be considered carefully, and need to continuous research and monitoring.
Files in This Item:
T00881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624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