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4 1035

Cited 0 times in

양하지 절단인들의 임상 양상 및 재활

Other Titles
 Clinical features and rehabilitation in bilateral lower limb amputees 
Authors
 김은주 
Department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재활의학교실) 
Issue Date
2005
Description
의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양하지 절단인들의 재활치료 계획 수립시에 나이, 심폐기능, 동반 질환 등을 고려하면 단하지 절단인들보다 더 광범위한 전신상태의 평가가 필요하며, 재활치료 후 이들에게 적절한 활동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재활 치료팀에게 더 많은 지식과 기술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양하지 절단인들에 대한 전반적인 임상 양상과 절단인들의 일상 활동 영역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에 1994년 1월에서 2003년 12월까지 연세의료원에서 하지 절단술을 시행받은 양하지 절단인 및 타병원에서 하지 절단을 시행받고 본원 재활의학과 외래에 방문 또는 재활병원에 입원했던 양하지 절단인들 중 설문지에 답한 43명을 대상으로 절단 부위, 원인, 전신 상태, 의지장착과정과 의지이용실태,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을 평가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양측 무릎이상[bilateral above knee(AK)] 절단인은 5명(12%), 혼합형[combination above knee(AK) & below knee(BK)] 절단인 13명(30%) 그리고, 양측 무릎아래[bilateral below knee(BK)] 절단인은 25명(58%)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44.7 ± 17.4세이었다. 절단의 원인은 외상에 의한 경우가 28명(65%)으로 가장 많았으며, 혈관성 원인(30%), 선천성 및 감염, 기타 순이었다.2. 의지보행이 가능한 33명의 절단인들 중 22명(67%)은 계단을 포함한 실외보행이 가능하였으며, 실외 의지보행자들 중에서 18명(82%)이 양측 무릎아래(bilateral BK) 절단인이었다. 의지 이용에서 28명(85%)은 혼자서 신고 벗기를 할 수 있었으며, 21명(64%)은 지팡이나 목발과 같은 보행보조기를 사용하지 않고 독립적 의지보행이 가능하였다.3. 휠체어 보행을 하는 10명의 절단인들 중 9명은 휠체어 이동(transfer)을 독립적으로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실외 휠체어 보행을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한 절단인은 5명에 불과하였다.4. 일상생활동작 지수 및 Frenchay 활동지수와 절단 부위간 통계학적인 유의성이 없었으나, 휠체어 보행자에 비해 실외 의지보행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그리고, 의지보행자 중 보행보조기가 필요한 절단인에 비해 독립적 보행이 가능한 절단인에서 점수가 높았으며, 절단 원인이 비혈관성 질환인 경우가 혈관성 절단 원인군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5). 그리고 Frenchay 활동지수는 여성이 남성보다 점수가 더 높았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낮은 일상생활동작 지수 및 Frenchay 활동지수를 보여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18 vs r=-0.550)(p<0.01).5. 혼합형(combination AK & BK) 절단인과 양측 무릎아래(bilateral BK) 절단인에서의 무릎아래(BK) 절단측 슬관절을 보행분석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혼합형 절단인의 슬관절에서 유각기동안 최대 슬관절 굴곡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었으나(p<0.05), 양측 무릎아래 절단인과 정상 성인 두 군간 슬관절에서는 보행분석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이상의 결과로 양하지 절단인의 나이, 절단원인, 절단부위, 심폐기능 등의 전신상태를 파악하여 재활치료의 목표를 의지보행 또는 휠체어 생활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재활치료에 따른 결과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보행정도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동작, 사회적 상호교류, 실내 환경에서의 독립성 정도를 고찰하기 위해 보다 우리나라 정서에 맞게 절단인들의 활동 영역을 포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Rehabilitation of bilateral lower limb amputees poses a considerable challenge to both the rehabilitation team and the amputees themselves. Because the rehabilitation in bilateral lower limb amputees is more intensive than that of unilateral amputees,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prosthetic candidacy such as age, cardiopulmonary function, general condition and concurrent medical problems in planning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the amputees.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clinical features and the outcome in 43 bilateral lower limb amputees. Clinical features were obtained such as causes of amputation, level of amputation, concurrent medical problems and stump condition. Outcome measures were obtained us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dex, the Frenchay Activities Index(FAI), mobility grading with prosthesis or wheelchair. And motion analysis was done in prosthesis ambulators to evaluate the kinematic and kinetic gait parameter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knee joint.Of 33 amputees who were prosthetic ambulators, 22(67%), mainly in bilateral below knee(BK) amputees, were outdoor ambulators including stair climbing and 6 of 11 indoor ambulators were combination above knee(AK) & BK amputees. Of 10 amputees who were wheelchair ambulators, only 1 of them was able to perform wheelchair transfers by himself and 5 of them were independent wheelchair ambulators. In ADL index and FAI,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evel of amputation(p>0.05), but those of outdoor prosthetic ambulators was higher than those of wheelchair ones(p<0.05). And ag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DL index and FAI(r=-0.518 vs r=-0.550)(p<0.01). When comparing the BK limb between combination AK & BK amputees and bilateral BK amputees, maximal knee flexion during swing phas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ombination AK & BK amputees(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lateral BK amputees and control in knee joint.In conclusion, the goal of rehabilitation in bilateral lower limb amputees is giving the chances of being not only the prosthetic ambulators but the independent wheelchair propellers who are supposed not to be effective prosthetic ambulators due to the inadequate general condition and investigate the rehabilitation outcome in terms of independenc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social integration and home environments, as well as ambulatory status.
Files in This Item:
T008724.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재활의학교실) > 2. Thesis
Yonsei Authors
Kim, Eun Joo(김은주)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533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