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077

Cited 0 times in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개인학습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 between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learning of hospital nurses 
Authors
 김유나 
Issue Date
200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개인학습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병원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연구대상자는 여섯 개 종합전문요양기관 및 준 종합전문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일반간호사와 일선관리자 525명을 편의추출 하였다. 연구도구는 Manz(1983)가 개발한 도구를 기초로 김한성(2002)이 수정보완한 셀프리더십 측정도구와 최종택(1996)이 수정보완한 개인학습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2005년 3월부터 4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508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1.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은 90점 만점에 평균 67.22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각 요인별 평균은 자기보상이 11.76점으로 가장 높았고, 목표설정 11.46점, 자기비판 11.26점, 자기기대 11.21점, 리허설 11.01점, 건설적사고 10.52점 순으로 나타났다.대상자의 개인학습은 120점 만점에 평균 83.95점으로 보통수준이었으며, 각 요인별 평균은 자기성찰이 14.66점으로 가장 높았고, 가시화 14.17점, 실험적 행동13.97점, 성과지향 13.88점, 사고의 틀 13.64점, 학습의욕 13.64점 순으로 나타났다.2. 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개인학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 .63, p< .001), 개인학습은 셀프리더십 요인 중 목표설정(r= .59, p< .001), 건설적사고(r= .53, p< .001), 자기기대(r= .46, p< .001), 자기보상(r= .37, p< .001), 리허설(r= .33, p< .001), 자기비판(r= .19, p< .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3.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은 연령, 결혼상태, 학력, 병원형태, 간호 관련 자격증, 근무경력, 현 병원 근무기간 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간호사의 개인학습은 연령, 결혼상태, 종교, 학력, 직위, 근무형태, 간호 관련 자격증, 근무경력, 현 병원 근무기간 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4. 간호사의 개인학습에 대한 예측변인은 셀프리더십이 39.6%, 연령 2.4%, 학력 0.9%이었으며, 이 세 변수에 의한 개인학습의 설명력은 42.9%를 나타냈다.결론적으로 기존연구에서는 리더십과 학습조직 간의 관계에서 개인을 자율학습인이 아닌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소 피동적인 존재로 인식하여 왔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개인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됨으로써 셀프리더십의 향상이 학습조직 구축을 위한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음이 실증적으로 증명되었다. 따라서 간호조직의 유효성 증진에 매우 효과적인 학습조직으로의 이행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셀프리더십 함양 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며,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반드시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수준과 학력, 근무경력, 자격증 유무 등이 고려되어져야 한다. 또한 상대적으로 셀프리더십 수준이 낮은 신규간호사의 능력개발 및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셀프리더십을 활용하여 간호조직 구성원 모두가 셀프리더가 될 수 있도록 셀프리더십에 대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방면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수준에 따른 적절한 인적자원관리 전략을 개발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영문]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learning of hospital nurses, which was undertaken in order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constructing learning organization in hospitals.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25 staff nurses and nurse managers conveniently selected from six general hospitals. Self-leadership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Manz(1986) and revised by Han-sung, Kim(2002), and individual learning scale revised by Jong-taek, Choi(1996) were used.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and April 2005. Using SPSS 12.0 for Window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on self-leadership was 67.22 out of 90, indicating moderate level. The average scores on sub-dimensions were as follows; 11.76 on self-compensation, 11.46 on goal-setting, 11.26 on self-criticism, 11.21 on self-expectation, 11.01 on rehearsal, 10.52 on constructive thinking.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on individual learning was 83.95 out of 120, indicating moderate level. The average scores on sub-dimensions were as follows; 14.66 on self-reflection, was the highest score, 14.17 on visibility, 13.97 on experimental behavior, 13.88 on outcome-oriented, 13.64 on mental model, 13.64 on learning motivation.2. The relationship betwee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lf-leadership and individual learning are meaningfully related statistically(r= .63, p< .001). Individual learn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goal-setting(r= .59, p< .001), constructive thinking(r= .53, p< .001), self-expectation(r= .46, p< .001), self-compensation(r= .37, p< .001), rehearsal(r= .33, p< .001), and self-criticism(r= .19, p< .001).3. Self-leadership of hospital nurses varied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types of hospital, nursing certification, years of experience. Individual learning of hospital nurses varied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religion, education, position, scheduling pattern, nursing certification, years of experience.4. The predictors of individual learning were self-leadership(39.6%), age(2.4%) and scholarship(0.9%). 42.9% of the variance in individual learning was explained by the liner combination of there three variables.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elf-leadership of hospital nurses influences individual learning, and suggest that improvement of self-leadership can be an effective way for construction of learningorganizations in hospitals. Therefore, education programs fostering self-leadership must be developed and applied to nursing organization, considering educational status, years of experience and certification.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52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